필리핀 의약품 시장분석 - ②유통구조 및 참고정보
필리핀 의약품 시장분석 - ②유통구조 및 참고정보 - 약국 통한 유통이 80%, 토종기업(Mercury Drug) 강세 - - 판로 개척, 현지 자문, 사후 관리 위한 유력 에이전트 확보 중요 -
□ 유통 구조
○ 필리핀의 제약회사 및 수입업체는 대부분 전문 유통기업과 계약관계를 맺고 제품을 유통하고 있음. 대표적으로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Zuellig Pharma Corp, Wyeth는 Metro drug와 같은 대형 유통사를 통해 의약품을 판매함.
○ 주요 의약품 유통업체는 도매의 경우 약국 체인, 병원, 기업 등이 있으며 소매는 소형 약국과 식료품점, 슈퍼마켓 등을 들 수 있음.
○ 의약품은 약국에서 판매되는 경우가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병원이 9.7%, 나머지는 조제의, NGO단체 등에 의해 유통됨.
○ 필리핀의 드러그스토어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미용용품, 위생용품 등 생활용품도 취급하고 있어 현지인은 마치 일상적으로 편의점에 가듯 드러그스토어를 자주 찾음.
○ 이 중에서도 Mercury Drug Store는 가장 독보적인 의약품 판매체인으로 전국에 걸쳐 총 788개의 매장을 운영하며 판매시장의 52%를 차지하고 있음. - Mercury Drug는 2차 세계대전 후인 1945년에 첫 점포를 오픈하며 사업을 시작, 매장 수를 지속 확대하며 현재는 필리핀 국민 프랜차이즈로 성장
○ 2위로는 Watson's가 매장수 253개로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Rose Pharmacy, Generics Pharmacy가 뒤를 이음. (단위: %)
|
0.2 |
0.1 | ||||||||||||||||||||||||||||||||||||||||||||||||||||||||||||||
Executive Optical |
Executive Optical Inc |
0.1 |
0.1 |
0.1 |
||||||||||||||||||||||||||||||||||||||||||||||||||||||||||||
기타 |
|
33.6 |
32.1 |
30.9 |
||||||||||||||||||||||||||||||||||||||||||||||||||||||||||||
합계 |
|
100 |
100 |
100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진출 참고정보
○ 필리핀에 의약품 수출을 원하는 외국 기업은 필리핀 식약청(FDA)에 해당 의약품을 등록해야 하며 상품등록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사전에 사업 라이선스를 소지하고 있어야 함.
○ 사업 라이선스 발급에는 실근무일 10일, 상품 등록 및 처리까지는 6개월에서 1년이 소요되는데 요구하는 서류가 복잡하고 행정처리도 느린 편임.
○ 2015년부터 모든 의약품 등록에 통상 ACTD Form으로 불리는 규정을 적용해 필요 서류가 더 복잡해지고 등록절차도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유력 에이전트 확보가 최우선
○ 시장 진출 시 사업 라이선스가 있는 현지 에이전트를 선정해 등록 및 행정업무를 전담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통상 유통업체와 에이전트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음.
○ 유력 에이전트 확보는 사전 준비단계에서뿐만 아니라 시장 진출 이후 주요 드러그스토어, 병원 등으로의 판로개척을 위해 매우 긴요
○ 에이전트는 제품 판매 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불만이나 기술적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현지 자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형 외국계 제약회사들의 경우 별도로 라이선스를 보유한 약사를 채용해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음.
자료원: 필리핀 식약청, Euromonitor, 코트라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