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자동차 타이어 선택시 고려 할점.... (20)


뭐 제가 알고 있는 지식 한도내에서 종종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틀린부분이나 잘못된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세요^^ 시간 나면 종종 차량 전시장들이나 타이어 가게 같은곳가서 둘러보고 할생각이긴 합니다만... 아직까진 그만큼의 내공이 안돼서 한국에서 알게된 정보 정도니까 참고 하시면 될듯 합니다. 타이어... 뭐 필핀은 중국산 대만산 할꺼 없이 막 몰려드니까 정신이 없긴 합니다. 타이어 보실때 브랜드 중요하죠. 유명한 고가 브랜드부터 안유명한 저가 브랜드까지... 거의 대부분의 브랜드는 기본적으로 3 종류의 타이어를 생산합니다. 1 썸머 타이어... 브릿지 스톤 pss ps3 뭐 이따위 이름들.... (파일럿 스포츠의 약자 정도 됩니다) 이름만 들어도 오오 스포츠가 들어가네?? 네 맞습니다. 대부분의 썸머 타이어는 고성능 버젼입니다. 당연히 겁나 비쌉니다. 얘네들의 특징은 이렇습니다. 타이어 홈(트레드라고도 하죠)이 넓찍 넓찍합니다. 그리고 타이어 고무 성격(컴파운드라고 합니다) 이 말랑 거립니다. 그래서 아스팔트 홀딩 능력이 좋습니다. 트레드가 넓찍하니까 땅에 닿는 면적이 큽니다. 참고로 비싼 애들은 타이어의 옆면 즉 사이드 월이 단단해 집니다. 그래야 고속 코너링시 옆면이 주저 앉는 일명 롤링 현상이 줄어 들기 때문입니다. 이야 얘네가 좋겠군!!! 네 좋습니다만 말랑 거린다고 했지요? 일명 지우개 입니다. 달리면 쭉 달아 없어집니다. 독일차와 제네시스들은 죄다 썸머타이어 장착하고 나옵니다. 또하나의 단점 빗길 눈길에 엄청 취약합니다. 트레드가 크고 홈의 갯수가 적어서 수막현상이나 이런걸 처리를 못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독일차는 기온이 8도 이하로 내려가면 윈터 타이어 교체하라고 경고 메세지가 뜨고 무조건 윈터 타이어로 교체하도록 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2번 윈터 타이어... 여긴 필요 없으니 패쑤!!! 사실 폰으로 쓰는거라....;; 3번 4계절용 타이어... 즉 래디얼 타이어인데 이게 보통 제일 많이 사용하는 차이어 입니다. 고속주행에서 접지를 포기한다 라는 상남자의 타이어 CP672 (현기차 기본 타이어 입니다...;;) 요런 타이어들은 가격대도 천차 만별 타이어의 성질도 천차 만별입니다. 승차감 위주인 애들, 연비 주행을 위한 애들... 래디얼 타이어는 특성상 4계절 모두 사용 할수 있습니다. 몇몇 애들의 초기 성능은 윈터 타이어를 위협할만큼 미끄러운 도로에서도 발군의 실력을 보여 줍니다. 타이어의 트레드 웨어... 타이어에는 내구성을 나타내는 트레드 웨어라는게 존재합니다. 숫자가 높으면 마모가 잘 되질 않습니다. 각 타이어 회사는 보통 홈페이지에 트레드 웨어도 표시해 줍니다. ㅎㅎ 마모가 잘안되면 당연히 경제적이지요. 다만 접지력은 좀 떨어집니다. 실예로 F1 경주용 차량들은 몇가지 타이어를 준비하는데 날씨가 좋으면 수퍼 소프트를 사용합니다. 아무 홈도 없고 밋밋하게 생긴 슬릭 타이어 입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레인 타이어를 끼웁니다. 홈이 많이 파여져 있고 마르고 뜨거운 노면에서 끼우면 타이어 마모가 심하기 때문에 비가 오다 멈추고 이런 날씨에는 타이어 교체 시기가 경기 흐름에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경기를 보다보면 도로에 까만것들이 굴러 다니는데 이는 타이어가 뜯겨져 나와 굴러 다니는 겁니다. 타이어 성분은 타이어 회사의 기밀 사항이기 때문에 경기가 끝나면 타이어 회사에서 다 쓸어 갑니다....;; 좋았어!! 그럼 나의 주행 성향에 맞춰서 래디알 타이어에 트레드 웨어도 적당히 높은 놈 중에 젤 싼놈을 고르겠어!!! 네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왜냐? 타이어 옆면을 보면 타이어의 성질이라던지 최고속, 심지어 몇년 몇주차에 생산한 타이어인지까지 다 써 있습니다. 타이어가 오래 되면 아무리 사용한적 없다해도 콤파운드에 섞여 있던 성분들이 빠져 나갑니다. 즉 기름기가 다빠져버린 그냥 고무 덩어리가 됩니다. 비 정상적으로 싼 타이어들은 오래된 애들 재고 떨이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럼 그건 어떻게 보느냐?? DOT B9 8F TF1X 4017 타이어 옆면을 보시면 요딴 해괴한 자그마한 글씨가 써 있습니다. (모든 타이어에 한쪽면에는 다 써있게 정해져 있습니다) DOT 디파트먼트 오브 트랜스퍼테이션... 즉 미운수국에서 승인한 미국 수출이 가능한 타이어란 소립니다... B8 국가와 생산 공장 코드이구요 8F 타이어 사이즈입니다 TF1X 타이어 패턴과 성분 그리고 브랜드 고유 코드입니다 그리고 대망의 4017 17년도 40주차에 생산된 타이어 입니다( 1년에 52주차까지 있는거 명심하시구요) 그럼 DOT 라고 써있는 아이는 미국에서 인정한 타이어니까 우선 믿어 봅시다. 생산한지 너무 오래 되지 않은 놈을 고르시면 되시겠습니다. 사실 DOT 안찍힌 타이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타이어 사이즈 보는 방법!! 타이어사이즈는 옆면에 써있죠 250/45/R17/91 Z 250은 넓이 입니다. 단면폭이라고도 하구요. 45는 편평비입니다. 타이어의 높이라고나 할까요? 휠에서 지면에 닿는부분까지 입니다. R 은 앞서 말한 래디알 타이어의 약자이고 17은 휠의 사이즈 입니다. 91은 하중지수 입니다. 한짝이 버틸수 있는 무게를 뜻하죠. 보통 100이면 공기가 들어간 상태에서 800키로까지 버틴다는 소립니다. 마지막 Z 는 타이어가 버틸수 있는 최대 속도입니다. 알파벳 중 젤 마지막에 나오는 아이니까 300키로 이상 이라고 보심 되구요. 젤 낮은애가 Q 인데 얘가 한 160키로 정도니까 왠만한 타이어엔 없습니다. 보통은 V 나 W 정도 되는데 이것도 240, 260 정도 되니 문제 없이 사용 하심 됩니다. 교환시기!! 네 사용한지 3~4년 쯤 지났다? 주저 없이 교체해 주세요. 트레드 홈을 유심히 보시면 가운데 불룩 튀어 나온 부분이 띄엄띄엄 보입니다. 이게 마모 한계선입니다. 그쯤 쓰셨다? 슬슬 교체 준비해주세요. 그쯤되면 마른땅에선 괜찮지만 빗길에선 슬슬 썰매 탈 시기가 되어갑니다. 새 타이어는 앞에??? 헌타이어는 뒤에??? 이건 주행 성향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통상적으론 앞에 새 타이어를 끼우는게 좋다고 여기긴 하지만 몇년전 미쉐린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뒤에 새타이어를 끼우는게 안전하다 고 하더군요. 국산차및 일본차들이 많이 취하고 있는 전륜 구동 모델차량 경우 뒤가 날리는 오버 스티어가 발생하면 일반인의 실력으론 위급상황을 벗어 날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솔직히 전륜차 오버 스티어 낼만큼 간이 큰 사람 많지 않습니다. ㅎㅎㅎ 조금은 유익하셨는지 잘 모르겠네요. 핸드폰으로 작성하다보니 눈이 뺑글뺑글 돌아서 문맥이 안맞을수도 있고 오타도 많을 수 있습니다. 부디 양해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김치아빠

@ 하우리 님에게... 좋은 방법입니다. 몇푼 아끼려다 크게 낭패 볼수도 있으니까요!!

wer33

정말 일반인으론 알수도없는 정보네요 유익한정보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치아빠

@ wer33 님에게... 에이 저도 그냥 한국에서 차를 좋아해서 차량 판매일도 좀 하던 일반 사람일뿐입니다. 정말 전문 고수분이 들으시면 웃으실지도 모릅니다 ㅠㅠ

deepsea

제 2대자동차의 타이어 싸이즈 입니다. GOODYEAR EAGLE LS-2, 225/55R17, DOT M600 NCIL 4317. Made in U.S.A. MICHELIN PREMIER A/S, 205/55R16, DOT B9 W/C HX 0914. Madi in U.S.A. 겨울이 없는 계절에서는, 위의 두 상품외에, 어떤 회사의 제품이 가장 좋을까요?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Victhor

@ deepsea 님에게... i think those are the best cars

김치아빠

@ deepsea 님에게... 제가 타이어 관계자도 아니고 모든 차이어를 다 써본적도 없는 사람인지라... 코드만 갖고 타이어 성향을 다 파악하긴 힘듭니다. 코드는 브랜드에서만 기밀로 돌리는거라... 그래서 두개 검색해 봤습니다. 둘다 래디얼 타이어이고 국내에서는 대략 20만원 초중반쯤에 가격대가 형성되는 약간 고가의 타이어네요. 특히 미쉐린 프리미어는 국내 상륙한지 얼마 안되는 제품이라 리뷰도 거의 없습니다. 다만 둘다 나름 꽤 인지도 있는 회사에서 승용타이어 주력 제품으로 개발한듯 보입니다. 글로만 읽어 봐선 선뜻 어떤게 좋네요 라고 말씀드리긴 힘듭니다. 저도 써 봐야 승차감이 이게 좋구나 소음이 없구나 내구성이 좋구나 말씀드릴텐데요.... ㅠㅠ 제조사 말대로라면 굿이어는 전작에 비해 내구성 향상도 됐고 배수성을 더 확보했다라고 써 있더군요 미쉐린은 타이어가 닳아도 성능 저하를 최저로 막기위한 특허 기술을 적용했다고 하구요^^ 둘다 일반도로를 다니기엔 차고 넘치는 타이어가 아닐까 합니다. 제가 볼수 있는 리뷰상으로 굿이어 리뷰가 좋았다는 말씀드리겠습니다^^

papago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안녕하세요 스타렉스와 경차 한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차는 차가 경차다 보니 노면소음과 승차감이 당연히 안좋은데 추천해주실 타이어가 있을까요? 스타렉스도 경차와 마찬가지로 노면소음과 승차감이 많이 안좋네요 ㅎㅎ

김치아빠

@ papago 님에게... 음 제가 필핀 이력이 짧아서 여기서 어떤 타이어를 판매하는지도 잘 몰라서 추천드리기 애매합니다^^ 장황하게 써놨지만 그냥 구별하는게 요런거구나 정도 참고하시라고 올린 글이니... 참고 하셔서 본인 주행스타일에 맞는 타이어 장착하시면 됩니다. 사실 필핀이 미친듯이 쏘고 할만한 도로가 없어 보이니 편하게 구매 하시면 됩니다^^ 아 노면 소음이 커지는건 거진 대부분의 타이어들이 마모되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만 편마모가 나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정석대로라면 타이어 교체 할때 휠 밸런스 보고 휠을 끼운뒤에 얼라이먼트를 보는게 맞습니다. 여기도 휠 밸런스야 무조건 보겠지만 얼라이먼트는 작업비를 내야 하지 않을까요?? 아 경차랑 스타렉스는 뒷바퀴 얼라이먼트를 못잡긴 할꺼지만서도요...

papago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조언 감사합니다. 후륜 얼라이는 못잡는거 보단 아에 시도조차 하지 않더군요 중요하지 않데요 ㅎㅎ 미친듯이 쏠 도로가 부족하지만 그냥 미친듯이 쏘고 댕깁니다. ㅎㅎ

김치아빠

@ papago 님에게... 전륜구동차들 대부분이 뒷바퀴쪽이 토션빔 타입으로 변했죠. 멀티링크 타입보다 원가도 적게들어가고 고장도 덜나는 편인지라... 토션빔 차들은 후륜 얼라이먼트 보는게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한국에서는 브라켓을 만들어서 조절가능하게 개조해 주는 업체도 있긴합니다만 필핀에 그딴게 있을리 없겠죠. ㅎㅎㅎ 그러니 그냥 안봐버리는군요 ㅎ 제 기억이 맞다면 경차 사이즈에 쏠만큼 고성능 타이어는 나오지 않습니다. 스타렉스도 마찬가지고....;; 그나마 금호 솔루스, 넥센 엔프리즈, 한국 키너지, 굿이어 듀라 플랙스, 컨티넨탈 울트라 컨택트... 이정도가 15인치 타이어 중 고급에 속하는 편입니다. (한국 기준입니다 ㅎㅎ) 차량에 따라 어떤 사이즈는 들어가기도 하고 안들어가기도 합니다. 모닝 아 피칸토 구형 이나 스파크 구형은 휠 하우스가 조금 작기도 합니다.

신풍노호

이런 고급 정보 감사합니다.

김치아빠

@ 신풍노호 님에게...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큐리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김치아빠

@ 큐리 님에게... 다행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Victhor

@ 큐리 님에게... good for us and better for everyone

김치아빠

@ Victhor 님에게... I hope it helps. Haha

Janesa

post in the knowledge limits that you know this is okay ^^ It is meaningful information that shows professionalism. ~

geehidalgo

Brand is important when you look at tires. This is correct, also the price. Thank you for this, Have a good day

필사남

값진 정보 감사합니다. ㅎ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