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 Number Sign In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시끄러운 디젤차 왜?? (32)


김치아빠
항상 제 글 서두에 말씀드리지만 고수님들의 태클은 겸허히 수용하겠습니다. ^^ 전 그냥 차 좋아 하는 일반인이니까요 ㅎㅎㅎ 디젤 박사가 디젤 엔진을 만들었고 휘발유 엔진은 누군가 만들긴 했는데 하여간 이전 글에 적은대로 칼 벤츠가 차에다가 엔진을 때려 박아서 자동차를 만들기 시작하고 나서 자동차 엔진은 디젤 엔진과 휘발유 엔진으로 나뉘어졌죠. 두 엔진의 차이를 보자면 1 휘발유 엔진 우리가 보통 잘 알고 있는 흡입,압축,폭발,배기가 순서대로 이루어 지는데 휘발유 엔진은 압축과 폭발 사이에 점화 라는 부분이 들어갑니다. 엔진 안에다가 공기랑 휘발유를 채워 놓고 전기 스파크를 튀겨서 폭발을 일으켜 주는 겁니다. 그래서 휘발유 엔진은 점화 플러그나 거기에 따른 배선을 종종 교체해줘야 합니다. 엔진 특성상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엔진 오일이나 휘발유를 좋은 걸 쓸필요가 있습니다. 무슨 소리냐면 엔진이 작동하다 보면 엔진에 열이 많이 오르게 되죠. 그러다가 보면 불이 잘붙는 휘발유가 압축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폭발을 하게 됩니다. 소위 말하는 찜빠, 노킹 이 그 현상입니다. 엔진이 제대로 압축이 안된 상황에서 휘발유가 폭발하고 점화 플러그는 그 다음에 지혼자 스파크 튀기고... 출력 저하, 연비 저하, 엔진 진동 및 소음등등등....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디젤 엔진 기본적으로 휘발유 엔진과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다만 디젤 엔진은 점화 플러그가 없습니다. 즉 휘발유 엔진보다 더 고압으로 압축을해서 그 압축만으로 폭발을 시킵니다. 그러다 보니 엔진 자체가 소음이 큽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휘발유 엔진대비 노후도 빨리 되기도 하구요. 오래된 디젤차들이 딸딸딸딸 소리가 나는 이유는 그겁니다. 휘발유 엔진보다 압축을 더 해야 하기 때문에 엔진 피스톤이 좀 더 깁니다. 또 한번 폭발로 엔진 피스톤이 움직이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연료 효율이 좋고 힘도 좋죠. 대형 화물차들이 쓰는 이유도, 디젤 승용차들이 연비가 좋은것도 그 이유입니다. 디젤 엔진은 기본적으로 휘발유 엔진보다 크고 무겁죠. 즉 그냥 고철값만 따져도 디젤엔진이 더 비싸다는 겁니다. 휘발유 엔진은 디젤엔진에 비해 민첩하게 움직일수 있습니다. 휘발유 차량과 디젤 차량의 계기판을 비교해 보시면 아실텐데요. 속도 계기판이 아니라 RPM 계기판을 보시면 끝부분 숫자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는 레드존이 있습니다. 휘발유 엔진은 보통 6 이상 부터... 얼마전 올라왔던 페라리 이런 차들은 8이상부터... 경주용 차들은 10~12 정도까지 레드존 표시가 됩니다. 이 이상부터는 엔진이 맛탱이 갈수도 있습니다. 라고 경고해 주는 거라고 보심 됩니다. 그럼 디젤엔진은 보통 4~5 사이가 대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국산차 대비 독일차가 RPM 게이지 레드존이 한 500RPM 정도 높긴 합니다. 차이점에서 말씀 드렸듯이 디젤 엔진은 피스톤이 움직이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빨리 못움직입니다. 휘발유 엔진은 좀더 빠르게 움직이구요. 그래서 RPM 즉 분당 회전수의 한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겁니다. 스포츠카들 중에 디젤 스포츠카가 없는 가장 큰 이유죠. 무겁고 크고 빨리 못 움직이고.... 휘발유 엔진의 단점은.... 일반인분들이 왠만해서는 단 한번도 최대 출력을 내본적이 없다 입니다. ㅎㅎ 무슨 말이냐면 휘발유 엔진의 최대 출력은 RPM 게이지 4~5 이상 되야 나옵니다. ㅎㅎㅎㅎ 5000 RPM 쯤은 되야 최대 출력 구간이 되는 휘발유 차의 대부분은 자기 성능의 1/3 정도만 쓰다가 죽는 거죠 ㅎㅎ(요즘은 터보 기술이 발전해서 최대 출력 구간이 바뀌긴 했지만 터보는 나중에 다시 이야기 하겠습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독일 디젤이 왜 한국에서 유독 많이 팔렸는가??? 승용 디젤 같은 경우 달리기 시작하면 진동 소음 못느낄 정도로 정숙합니다. 정차 중에는 좀 느껴지긴 하죠.ㅎ 대부분 디젤 선택하시는 분들은 주유소 들어가는 즐거움에 진동 소음은 감수 할수 있어~!! 라고들 하십니다. 왜? 폭스바겐 폴로나 골프 같은 승용차들은 고속 주행시 1리터에 20키로 우습게 갑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경험해본 폴로 1.4 디젤 연비 최대 기록은 27키로 입니다.) 시내에서 별 스트레스 없이 막 몰아도 15 키로 이상은 꾸준하게 보여 줍니다. 1600cc 휘발유 차들이 보통 시내에서 7~8 키로 정도의 연비를 보이는것에 2배 정도 차이 나는 겁니다. 터빈 나가고 인젝터 나가면 돈이 얼만대? 라고 하시지만.... 실제로는 그 부품들이 많이 망가지는 애들도 아니고 휘발유차 기름값에 점화플러그나 배선 갈아주는 비용에 이것저것 생각하면 디젤이 더 저렴할 수밖에 없습니다. (필리핀은 기름값 차이가 많지 않아서... 좀 그렇지만 ㅎㅎㅎ) 게다가 AS 정책도 잘 되어 있으니까 정말 기름만 넣고 타는것처럼 느껴졌을겁니다. 한국 소비자들이 멍청해서 독일 디젤차를 그렇게 사재낀게 아닙니다. 타보니 탈만하다가 아니라 연비의 신세계였던거죠. 돈 천만원 더 주고 연비도 좋고 뽀대도 나는 독일차 사랑이 이렇게 탄생한거랄까요. 진동이나 소음 싫다 하시면 휘발유 타시는 거고 차를 미친듯이 달리시는 분들도 휘발유 타셔야 하지만 실용구간 즉 시내 주행이나 일반 고속도로 주행 (한 140~160 사이 정도까지랄까요?) 이정도면 디젤차가 좀 유리 하지 않나? 라고 생각해 봅니다. 실례로 16년에 새로 나온 벤츠 E300 휘발유 차량과 E220 디젤 차량을 같이 몰아 보면 엔진 질감은 디젤차가 더 좋거든요. ㅎㅎ 아 글이 너무 길다고 하셔서 좀 짧게 잘라 보려고 이리저리 노력했는데 잘 안되네요...;;; 죄송합니다~!!

좋은글인듯.. 저에겐 넘 어렵구요..ㅋ

@ 외란종결자 님에게... 아.... 최대한 심플하게 써볼라 했는데.....ㅠㅠ 죄송합니다.

A

요즘 BMW 디젤 엔진이 말썽이 많드라구요.요즘 차값이 바닥을칩니다. 폭스바겐은 연비조작으로..문제됐었구요. 아우디도..그래서 아우디는 1백만원 쿠폰돌려서 입막음? 벤츠는 아직 잘버티네요 BMW는 좀무리 하게 설계했나봅니다..ㅉ 조금 역사를 거슬러가면은 예전 정유사에서 정유하면 휘발유가 처치곤란이었다죠.쓸데가없어서요.그래서 휘발유엔진을 개발했다는? 여튼 한방에 해결됐다네요.

길어두 다 봤시유.ㅠㅠㅠ 디젤 소음이 스트레스요. 운행도 별로안하는데.ㅉ

@ 고바우1 님에게... 운행 안하시면 조용한 휘발유차 타시는게 좋아요 ㅠㅠ

T

오,,, 일반인이 아니십니다 ^^ 항상 올리시는 글 볼때마다 감탄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감히 첨언 하자면,, 언급하지 않으신 "디젤엔진 이미션 등급" 정도 인데요 유럽과 한국은 이미 유로 6 배출규제 적용으로 디젤도 제법 깨끗하게 정유된 유로 6 디젤을 넣고 다닐 수 있지요,, 허나 이 필리핀이 아직 유로 4로 넣는 기름의 질 부터 차이가 있습니다 좋은 독일제 유로6 차 뽑아서 타고 다닌데도 엔진 때랑 요즘 문제되는 DPF EGR 카본은,, 정말 자주 청소해주고 관리해줘야 한다는 약점이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저 또한 디젤에 한표! 고무줄 당기는 듯한 그 찰진 토크에 길들여지면 디젤차 쉽게 포기 못하죠

@ TakaCrownJay 님에게... 엄... 우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로 몇 기준은 보통 엔진이 얼마만큼의 오염물질을 뿜어내냐의 기준이죠. 유럽과 한국에서 차량을 판매 하려면 유로 6 기준에 부합되는 엔진을 사용해야 하니까요. 보통 DPF와 EGR 장착해서 유로 5까지는 무난하게 맞출수 있었지만 유로 6가 되면 요소수를 넣어서 배기가스에 오염 물질을 중화 시키게 됩니다. 요소수가 안들어가는 시스템으로 유로 6 충족시켰다고 구라치다 걸린 폭스바겐이 대표적 예이기도 하구요. 지금 BMW 가 설계 결함(?) 으로 불을 엄청 내고 있는거 같은데... 사실 다른 브랜드들은 슬러지가 끼거나 해서 고장나면 고장났지 거기서 불이 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봅니다. 보통 연료의 등급은 이미 언급하셨듯이 휘발유에서는 옥탄가가 맞습니다. 디젤에서는 세탄가라고 하죠. 노킹을 억제해주고 최고 압축점에서 폭발하게해주는 폭발 지연 지수 정도라고 보시면 되는데 한국 옥탄가가 보통 일반이 93정도 프리미엄이 97정도 보시면 될거 같네요. 보통 세계 오일 정제량의 상당 부분을 한국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극소수의 몇몇 자동차 강국 이외에는 상당히 놓은 등급 연료라고 생각합니다.

M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정독하여 잘 읽고있습니다. 유로6에 요소수를 사용하지 않는 차종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벤츠 E220d 와 볼보의 D90 정도이겠네요 경쟁차종인 bmw 520d는 요소수를 넣어야하는 차종입니다. 즉, 유료6에서도 요소수를 사용하지않는 즉, DPF방식의 차종들이 있습니다. 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간단하게 DPF 설명하자면 배기가스에 남은 산소가 미세먼지와 반응하여 활활 타게 해 배출가스의 유해 물질을 태우는 것이 DPF의 구조입니다. 운행하는 동안 쌓이면 한 번씩 자동으로 가동하게 되죠.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기다리겠습니다.

@ makati789 님에게...마카티님께서 지적해 주신 점 확인했습니다. W213 E220 d 차량은 요소수 즉 AD BLUE 가 들어갑니다. DPF도 같이 있습니다. (제가 필리핀 오기 전에 마지막 근무처가 벤츠였던지라...ㅎㅎㅎ) 볼보 D90 은 제가 확인하진 못했는데 볼보에서 근무하는 동생들이 안들어 간다고 하네요 ㅎㅎㅎㅎ 요소수 들어가는 차들도 DPF 는 거진 달려 있습니다. 보통 요소수 없이 DPF 만으로 인증 받았던 독일차들은 추가 인증이 안나고 있는 차들이 많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1.6 디젤들인데 벤츠도 폭스바겐 계열 1.6 디젤 엔진들도 모두 한국에서 인증이 나지 않고 있거나 취소 되어 한국내 수입이 막혔기 때문에 요소수가 들어간 차들만 유로 6 인증을 받았다고 적었습니다만 볼보는 그 어려운 환경을 뚫고 들어 왔군요~!! ㅎㅎ 한국내에서는 엄청 보기 힘든 상황이긴 한거 같습니다.

@ TakaCrownJay 님에게... 필 디젤이 질이 안좋다는 얘긴거죠? 그럼 좀 나은 디젤넘 괜찮을까요? 아님 도진 개진?

@ 고바우1 님에게... 나라마다 기름 질이 차이가 나긴 하지만 가장 큰건 주유소 기름 탱크의 질이 차이 날거에요. 어디선가 수분이 스며 들기도 하고 심한경우는 지하수나 이런것들이 유입되기도 하는데 과연 필핀에서 주유소를 잘 만들어 놨을까 싶기도 하구요... 비싼돈 들여서 고급 디젤이랑 고급 휘발유 먹였는데 탱크 빵꾸나서 이상한거 들어가면 도루묵이잖아요 ㅎㅎ 비싼 기름들은 막둥이가 좋아하는 정말 비싼 차들을 위해서 남겨 두심이...^^ 이 동네 엔진은 이 동네 기름질에 맞춰서 세팅해서 나옵니다. 고급유 넣어야 하는 차들은 보통 주유구에 써 있어요. 고급유가 권장 사양이라구요^^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캬 생생정보 네요. 이래서 사람은 알아야. 가급적 믿을만한 주유소서 넣어야겠네요. 또 주말이네요. 즐건 주말 되세요.

T

@ 고바우1 님에게... 그래서 저는 그나마 비싼 기름 넣고 다닙니다 옥탄가 높으면 출력도 좋아져서 연비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비싼 기름 넣으면 조금 널 넣어주더라도 조금 더 달릴 수 있다는 얘기 이고요) 그래도 그래도 도긴개긴인게,, 싼넘이나 비싼넘이다 둘다 유로4

확실히.. 운전하는 맛은 가솔린이 낫더라고요. 디젤은 치고 나가는 맛이 있긴 하지만..

K

고수가 아니므로 잘읽고 갑니다..

한국에서 난리난 일명 불나는 차 ㅎㅎㅎ 연비가 진짜 좋아요. 동생이 공항에 근무해서 새벽이고 낮이고 왔다갔다해서 연비 좋은차 골랐던건데 정말 29-30은 나오는듯 하다고. 거의 고속도로만 미친듯이 다니는지라..

세부에서는 suv가 정답인거같아요~

어렵네요 ㅎㅎㅎㅎㅎㅎ ㅎㅎㅎㅎㅎㅎㅎㅎ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담에도 좋은 글 부탁요~

P

간단요약 휘발유차- 연료비 비싸지만 정숙하고 가속도가 좋음 경유차 - 연료비는 싸지만 차값이 비싸고 딸딸딸 거림(그래도 휘발유 경차보단 경유 suv가 정숙)

굿 ~ 정보~~ 감사요~~~~

항상 좋은글 잘보고 있습니다. 조만간에 차를 살 예정인 저에게는 큰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응?? 글이 너무 갑자기 끝나는 느낌이예요. 상세하고 좋구만 누가 불평을.. 이 정도는 되야 차 전문가라 할수 있는건데..

@ 리오넬몇시 님에게... 너무 길어서요....;;; 뒤에 한뭉탱이 잘라냈습니다...;; 나중에 또 올릴께용 ㅎ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뭐, 어떻게 쓰시든 상관없습니다. 근데 설명도 참 쉽게 잘하시네요.

M

많이 배웠습니다. 덕분에 디젤이 왜 연비가 좋고 힘이 좋은지, 왜 덜덜 거리는지 이유를 확실히 알았네요

T

항상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자동차에 관한 상식 잘 읽고 기억합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P

디젤은 이제 끝.... 친환경차 대세... 전기차 수소차 시대가 오고 잇음... 아직도 연비 운운하면 안됨, 이미 디젤의 한계를 보았고 그로인한 피해를 충분히 당했기에 이제 디젤의 시대는 끝인듯 .... 버스 화물차 또는 배 빼면 내연기관이 정말 사라질수잇겠다 생각함 보스도 CNG Ehsms LNG로 대체되는데.....

대단한 관심이 보입니다. 저도 가스차 휘발유차 보다 디젤차가 은근 생각이 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