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 Number Sign In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좋은글인듯.. 저에겐 넘 어렵구요..ㅋ
@ 외란종결자 님에게... 아.... 최대한 심플하게 써볼라 했는데.....ㅠㅠ 죄송합니다.
요즘 BMW 디젤 엔진이 말썽이 많드라구요.요즘 차값이 바닥을칩니다. 폭스바겐은 연비조작으로..문제됐었구요. 아우디도..그래서 아우디는 1백만원 쿠폰돌려서 입막음? 벤츠는 아직 잘버티네요 BMW는 좀무리 하게 설계했나봅니다..ㅉ 조금 역사를 거슬러가면은 예전 정유사에서 정유하면 휘발유가 처치곤란이었다죠.쓸데가없어서요.그래서 휘발유엔진을 개발했다는? 여튼 한방에 해결됐다네요.
길어두 다 봤시유.ㅠㅠㅠ 디젤 소음이 스트레스요. 운행도 별로안하는데.ㅉ
@ 고바우1 님에게... 운행 안하시면 조용한 휘발유차 타시는게 좋아요 ㅠㅠ
오,,, 일반인이 아니십니다 ^^ 항상 올리시는 글 볼때마다 감탄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감히 첨언 하자면,, 언급하지 않으신 "디젤엔진 이미션 등급" 정도 인데요 유럽과 한국은 이미 유로 6 배출규제 적용으로 디젤도 제법 깨끗하게 정유된 유로 6 디젤을 넣고 다닐 수 있지요,, 허나 이 필리핀이 아직 유로 4로 넣는 기름의 질 부터 차이가 있습니다 좋은 독일제 유로6 차 뽑아서 타고 다닌데도 엔진 때랑 요즘 문제되는 DPF EGR 카본은,, 정말 자주 청소해주고 관리해줘야 한다는 약점이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저 또한 디젤에 한표! 고무줄 당기는 듯한 그 찰진 토크에 길들여지면 디젤차 쉽게 포기 못하죠
@ TakaCrownJay 님에게... 엄... 우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로 몇 기준은 보통 엔진이 얼마만큼의 오염물질을 뿜어내냐의 기준이죠. 유럽과 한국에서 차량을 판매 하려면 유로 6 기준에 부합되는 엔진을 사용해야 하니까요. 보통 DPF와 EGR 장착해서 유로 5까지는 무난하게 맞출수 있었지만 유로 6가 되면 요소수를 넣어서 배기가스에 오염 물질을 중화 시키게 됩니다. 요소수가 안들어가는 시스템으로 유로 6 충족시켰다고 구라치다 걸린 폭스바겐이 대표적 예이기도 하구요. 지금 BMW 가 설계 결함(?) 으로 불을 엄청 내고 있는거 같은데... 사실 다른 브랜드들은 슬러지가 끼거나 해서 고장나면 고장났지 거기서 불이 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봅니다. 보통 연료의 등급은 이미 언급하셨듯이 휘발유에서는 옥탄가가 맞습니다. 디젤에서는 세탄가라고 하죠. 노킹을 억제해주고 최고 압축점에서 폭발하게해주는 폭발 지연 지수 정도라고 보시면 되는데 한국 옥탄가가 보통 일반이 93정도 프리미엄이 97정도 보시면 될거 같네요. 보통 세계 오일 정제량의 상당 부분을 한국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극소수의 몇몇 자동차 강국 이외에는 상당히 놓은 등급 연료라고 생각합니다.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정독하여 잘 읽고있습니다. 유로6에 요소수를 사용하지 않는 차종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벤츠 E220d 와 볼보의 D90 정도이겠네요 경쟁차종인 bmw 520d는 요소수를 넣어야하는 차종입니다. 즉, 유료6에서도 요소수를 사용하지않는 즉, DPF방식의 차종들이 있습니다. 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간단하게 DPF 설명하자면 배기가스에 남은 산소가 미세먼지와 반응하여 활활 타게 해 배출가스의 유해 물질을 태우는 것이 DPF의 구조입니다. 운행하는 동안 쌓이면 한 번씩 자동으로 가동하게 되죠.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기다리겠습니다.
@ makati789 님에게...마카티님께서 지적해 주신 점 확인했습니다. W213 E220 d 차량은 요소수 즉 AD BLUE 가 들어갑니다. DPF도 같이 있습니다. (제가 필리핀 오기 전에 마지막 근무처가 벤츠였던지라...ㅎㅎㅎ) 볼보 D90 은 제가 확인하진 못했는데 볼보에서 근무하는 동생들이 안들어 간다고 하네요 ㅎㅎㅎㅎ 요소수 들어가는 차들도 DPF 는 거진 달려 있습니다. 보통 요소수 없이 DPF 만으로 인증 받았던 독일차들은 추가 인증이 안나고 있는 차들이 많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1.6 디젤들인데 벤츠도 폭스바겐 계열 1.6 디젤 엔진들도 모두 한국에서 인증이 나지 않고 있거나 취소 되어 한국내 수입이 막혔기 때문에 요소수가 들어간 차들만 유로 6 인증을 받았다고 적었습니다만 볼보는 그 어려운 환경을 뚫고 들어 왔군요~!! ㅎㅎ 한국내에서는 엄청 보기 힘든 상황이긴 한거 같습니다.
@ TakaCrownJay 님에게... 필 디젤이 질이 안좋다는 얘긴거죠? 그럼 좀 나은 디젤넘 괜찮을까요? 아님 도진 개진?
@ 고바우1 님에게... 나라마다 기름 질이 차이가 나긴 하지만 가장 큰건 주유소 기름 탱크의 질이 차이 날거에요. 어디선가 수분이 스며 들기도 하고 심한경우는 지하수나 이런것들이 유입되기도 하는데 과연 필핀에서 주유소를 잘 만들어 놨을까 싶기도 하구요... 비싼돈 들여서 고급 디젤이랑 고급 휘발유 먹였는데 탱크 빵꾸나서 이상한거 들어가면 도루묵이잖아요 ㅎㅎ 비싼 기름들은 막둥이가 좋아하는 정말 비싼 차들을 위해서 남겨 두심이...^^ 이 동네 엔진은 이 동네 기름질에 맞춰서 세팅해서 나옵니다. 고급유 넣어야 하는 차들은 보통 주유구에 써 있어요. 고급유가 권장 사양이라구요^^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캬 생생정보 네요. 이래서 사람은 알아야. 가급적 믿을만한 주유소서 넣어야겠네요. 또 주말이네요. 즐건 주말 되세요.
@ 고바우1 님에게... 그래서 저는 그나마 비싼 기름 넣고 다닙니다 옥탄가 높으면 출력도 좋아져서 연비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비싼 기름 넣으면 조금 널 넣어주더라도 조금 더 달릴 수 있다는 얘기 이고요) 그래도 그래도 도긴개긴인게,, 싼넘이나 비싼넘이다 둘다 유로4
확실히.. 운전하는 맛은 가솔린이 낫더라고요. 디젤은 치고 나가는 맛이 있긴 하지만..
고수가 아니므로 잘읽고 갑니다..
한국에서 난리난 일명 불나는 차 ㅎㅎㅎ 연비가 진짜 좋아요. 동생이 공항에 근무해서 새벽이고 낮이고 왔다갔다해서 연비 좋은차 골랐던건데 정말 29-30은 나오는듯 하다고. 거의 고속도로만 미친듯이 다니는지라..
세부에서는 suv가 정답인거같아요~
어렵네요 ㅎㅎㅎㅎㅎㅎ ㅎㅎㅎㅎㅎㅎㅎㅎ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담에도 좋은 글 부탁요~
간단요약 휘발유차- 연료비 비싸지만 정숙하고 가속도가 좋음 경유차 - 연료비는 싸지만 차값이 비싸고 딸딸딸 거림(그래도 휘발유 경차보단 경유 suv가 정숙)
굿 ~ 정보~~ 감사요~~~~
항상 좋은글 잘보고 있습니다. 조만간에 차를 살 예정인 저에게는 큰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응?? 글이 너무 갑자기 끝나는 느낌이예요. 상세하고 좋구만 누가 불평을.. 이 정도는 되야 차 전문가라 할수 있는건데..
@ 리오넬몇시 님에게... 너무 길어서요....;;; 뒤에 한뭉탱이 잘라냈습니다...;; 나중에 또 올릴께용 ㅎ
@ 흑랑@네이버-51 님에게... 뭐, 어떻게 쓰시든 상관없습니다. 근데 설명도 참 쉽게 잘하시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덕분에 디젤이 왜 연비가 좋고 힘이 좋은지, 왜 덜덜 거리는지 이유를 확실히 알았네요
항상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자동차에 관한 상식 잘 읽고 기억합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디젤은 이제 끝.... 친환경차 대세... 전기차 수소차 시대가 오고 잇음... 아직도 연비 운운하면 안됨, 이미 디젤의 한계를 보았고 그로인한 피해를 충분히 당했기에 이제 디젤의 시대는 끝인듯 .... 버스 화물차 또는 배 빼면 내연기관이 정말 사라질수잇겠다 생각함 보스도 CNG Ehsms LNG로 대체되는데.....
대단한 관심이 보입니다. 저도 가스차 휘발유차 보다 디젤차가 은근 생각이 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