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필리핀 경제 동향 - 2011년 12월 둘째주 (대사관 정보)


    통상투자진흥협의회 자료 2011.12.16(금)     2011년 필리핀 경제동향   주필리핀대사관   1.경제성장 동향 및 전망   ◦2011년 필리핀 경제는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의 성장을 기록 -연초 필리핀 정부는 7~8%의 경제성장 목표를 내놓았으나, 상반기 4%의 GDP 성장에 그침(1/4분기 4.9%, 2/4분기 3.4%). -2010년 7월의 신정부 출범과 민관협력 프로젝트(PPP)의 활성화에 따른 건설경기 활황 등을 바탕으로 2010년 수준*의 성장이 기대되었으나,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경기침체와 일본의 지진,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정정불안 등 대외여건의 악화와 함께 부진한 정부재정지출 등의 요인으로 경제성장이 기대에 밑돈 것으로 분석 *2010년도 경제성장률은 7.3%   ◦필리핀 정부는 상반기 경제성장률 발표 후 성장목표를 5~6%로 하향 조정 발표한 바 있으나, 이것도 하반기 경제성장이 7~8%에 달하는 경우에나 가능한 것이어서 비현실적인 전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이후 4~5%의 성장목표를 제시 -정부는 3/4분기에는 다소 회복된 4% 이상(3.8~4.8%)의 경제성장을 이룬 것으로 전망하나, 민간전문가들은 대략 4%의 성장을 전망   ◦ADB는 금년도 연간 3.6%의 성장을 전망하였으며,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는 이보다는 다소 높은 4.3% 성장을 전망   ◦2012년 필리핀 경제는 3.7% 성장할 것으로 전망(ADB) -EURO Zone과 미국 경제의 침체 등의 영향으로 필리핀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 전체 동남아시아 국가의 내년도 경제성장이 저조할 것으로 전망   2.인플레이션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이에 따른 국내 공공요금 인상 과 태풍으로 인한 식료품가격 인상 등의 요인으로 1~10월까지 평균 물가인상률은 4.8%를 기록   ◦물가인상률을 3~5%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앙은행은 이와 같이 대내외 경제환경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3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4.5%*까지 조정하였으며 6월에는 정책금리 인상 대신 은행지급준비율을 1% 포인트 인상된 20%로 인상하여 인플레이션에 대응 *overnight borrowing rate: 4.5%, overnight lending rate: 6.5%   3. 실업률과 고용   ◦1~8월 실업률은 7.2%를 기록하여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   ◦높은 실업률과 무급가족종사자 등 불완전 고용(underemployment)은 필리핀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로서 이는 제조업 기반이 튼튼하지 않아 양질의 직업이 부족한 데서 기인하는 구조적인 문제 -산업구조별 종사인구 농업 33%, 서비스업 52%, 공업 15% -전년도 대비 농업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산업화라는 국가경제목표에 비추어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인 것으로 분석   4. 교역   ◦1~9월 수출 총액은 전년도 동기 대비 3.1% 감소한 383.6억불 -5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9월 수출이 전년도 동기 대비 27.4%가 감소한 38.8억불에 그쳐 지난 2년 반 (2009년 4월) 이래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 -전체 수출의 46.8%를 차지하는 전자제품의 수출이 전년도 동기 대비 47.9% 감소 -국가별로는 1, 2, 3위 수출시장인 일본, 중국, 미국으로의 수출이 전년도 동기 대비 각각 11.7%, 18.5%, 7.1% 감소   ◦이러한 수출 감소는 1차적으로 유럽과 미국 시장의 경기침체에 기인한 것으로서 어느 정도 예상되었던 것이기는 하나 전문가들은 부진한 전자제품의 수출이 구조적인 문제가 되어 가는데 대한 우려를 표명 -필리핀의 수출 주력 전자제품은 수요 신장이 예상되는 차세대 제품이 아니며, 4/4분기의 급격한 수출의 반등없이는 4~5%라는 금년도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나, 전망은 밝지 않음.   5. 해외근로자 송금   ◦중앙은행은 금년도 해외근로자 송금액이 전년도 188억불 보다 7% 증가한 201억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 -2012년에는 5% 증가한 211.5억불로 전망 -미국,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싱가폴, UAE, 이탈리아 순   ※한편, World Bank는 필리핀 금년도 해외근로자 송금액을 정부 전망보다 높은 230억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필리핀이 인도, 중국, 멕시코에 이어 세계 4위의 해외근로자송금 접수국이 될 것으로 전망   ◦일부 전문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노동시장 불안정 등의 요인을 들어 중앙은행이 연초 전망한 전년도 대비 약 7% 증가한 200억불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동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관측 6. 환율   ◦2010년 기록적인 포트폴리오 투자 유입 등에 힘입어 1달러당 45.1 페소의 안정적인 환율을 기록하였으며, 2011년은 미국, 유럽 등 대외 경제의 변화와 함께 페소화 강세 시현 -페소화 강세는 수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긍정적 요인도 있음.   ◦2011년말 대달러 환율은 전년도 대비 4.4%의 평가절상이 이루어 진 43.2페소 정도로 예상되고 있음(EIU).   ◦EIU는 2015년까지 장기적으로 대달러 환율이 43.4:1로 절상될 것으로 전망   7.외환보유고   ◦11월말 외환보유고가 해외근로자송금과 포트폴리오투자 유입 증대 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인 763.5억불을 기록 -금년 초 중앙은행은 금년도말 외환보유고를 700억달러로 전망       [참고] 필리핀 주요 경제지표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경제성장률(%) 5.3% 7.1% 3.8% 0.9% 7.3% 4.0%(상반기) GDP 1,175억불 1,440억불 1,671억불 1,611억불 1,890억불   1인당 GDP 1,382불 1,624불 1,848불 1,747불 2,011 불   교역규모 수출 465억불 495억불 482억불 384억불 514억불 332억불(1~8월) 수입 533억불 579억불 608억불 430억불 547억불 404억불(1~8월) 총계 998억불 1,074억불 1,090억불 817억불 1,061억불 736억불 물가상승률 (%) 6.2% 2.8% 9.3% 3.2% 3.8% 4.8%(1~11월) 실업률(%) 7.4% 7.3% 7.4% 7.5% 7.3% 7.2%(1~8월) 외환보유고 230억불 338억불 376억불 442억불 625억불 763.5억불(11월말)   자료: BSP(필리핀 중앙은행), NSO(Nat’l Statistics Office) 종합     [참고] 재생에너지 가격보조금(FiT) 책정 동향     □ FiT 도입 추진 배경   ◦ 필리핀 정부, 2008.12월 재생에너지법(Renewable Energy Act of 2008, R.A 9513) 제정 이후 2009.6월 시행령 발효, 2009.8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가이드라인 발표   ◦ 동 법에 따르면 시행령 발효 후 1년 내에 FiT를 포함한 아래 비금전적 인센티브를 시행토록 되어 있으나 2011.12월 현재까지 시행 지연   [참고]재생에너지법에 규정된 비금전적 인센티브 -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전력공급자에게 공급 전력의 일정 비율을 재생에너지 생산 전력 공급 의무화 - Feed-in Tariff: 재생에너지 생산전기에 대한 가격프리미엄(당초 2010년 시행 예정)으로 생산된 전기를 일정 가격에 일정기간 동안(12년 이상) 구매 보장 - Green energy Option: 소비자에게 재생에너지 생산 전기 구매 선택권 부여 - Net-metering system: 전력을 자체 생산하는 소비자(가구)에 대해서는 전기회사가 해당전력을 구매토록 하거나, 해당 가구 전기요금 할인제     □ 진행 경과   ◦ 2011.5.16 필리핀 재생에너지위원회(NREB)는 재생에너지원별 FiT 요율 권고안 작성, 에너지규제위원회(ERC)에 제출   * 동 FiT 초안은 태양광/오션 P17.95/kw, 풍력 P10.37/kw, 바이오매스 P7/kw, 수로식수력 P6.15/kw으로 동 요율안 적용 시 전체적으로 P12/kw의 전기료 인상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상기 재생에너지 사업 중 필리핀에서 유망한 사업은 태양광, 수로식수력, 바이오매스 발전인 것으로 평가   ◦ 에너지규제위원회는 동 FiT 요율을 3개월 이내에 최종 승인토록 되어 있으나, FiT에 따른 전기요금 추가 인상 우려로 수차례 공청회 개최에도 불구하고 FiT 도입 지속 지연 상태 - 전기료 추가 인상을 야기할 재생에너지 보조금(FiT) 도입에 대해서는 일반 소비자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DTI 등도 반대하는 입장 - 반면, 재생에너지 사업 진출을 희망하는 투자자들은 FiT 요율 확정이 지연되는데 대한 불만을 표명 - 이와 관련 2011.11월 NREB 의장(Atty. Maniego) 사퇴 의사 표명   ◦ 2011.12월 개최된 ‘에너지투자포럼’에서 에너지부 차관은 FiT가 조만간 확정, 시행될 것이나 시행 시기 및 최종 가격이 확정되지 않았다고 언급 /끝/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