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서영 기자 = 기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지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발(發) 변이 바이러스가 해외에서 유입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전파된 사례도 처음 발견돼 국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5일 주요 3종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41명 늘어 총 33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41명 가운데 영국발(發) 변이 감염자가 31명,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 감염자가 10명이다. 브라질 변이 감염자는 추가로 나오지 않았다. 변이 감염자가 나온 국내 집단발병 사례는 총 19건으로 늘었다. 신규 변이 감염자 41명의 국적은 내국인 26명, 외국인 15명이다. 이들 가운데 22명은 국내 감염 사례로, 해외유입 사례 19명보다 더 많았다. 국내 발생 22명 중 12명은 기존 집단감염 사례에서 추가됐으며, 나머지 5명은 남아공발 변이 감염 사례로는 처음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전파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유입 사례 19명 중 6명은 검역 단계에서, 나머지 13명은 입국 후 자가격리 중 진행한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방대본은 지난해 10월 이후 변이 바이러스 유전체 총 5천774건을 분석해 이 가운데 총 330건의 주요 변이를 확인됐다. 이 가운데 영국발 변이가 280건, 남아공발 변이가 42건, 브라질발 변이가 8건이다. [email protected]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5095400530?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