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여유분을 다른 나라에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각국의 백신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국의 ‘백신 외교’는 국제사회 리더십을 회복하는 동시에 중국이 자국 백신을 개발도상국 등에 지원하며 영향력 확대에 나선 움직임을 차단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가 2022년 말까지 전 세계 10억 회분 생산을 목표로 인접국(캐나다·멕시코 등 중미)→쿼드 3개국(일본·인도·호주)→동맹국→전 세계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할 것으로 보여 한국은 백신 배정에서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 내 백신 접종이 2억 회분을 돌파했다고 밝히면서 “다른 국가들에 백신을 지원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in process)”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 백신 일부를 어떻게 할지 살펴보고 있으며, 확신할 만큼 충분하지는 않지만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해외 지원 가능 물량 확인 작업에 들어갔음도 내비쳤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가 백신을 보내도 안전한지 확실히 해야 한다”고도 말했다.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에서 승인되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이나 혈전 문제로 접종이 중단된 얀센 백신을 해외에 지원하는 문제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지원이 인접국인 캐나다와 중미 국가에 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점도 시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전화회담 사실을 공개하며 “추가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미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도 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도 이날 ‘쿼드’를 중심으로 해외 백신 지원 작업에 본격화한 사실을 공개했다. NSC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미국은 20일 쿼드 백신 전문가 회의를 주재했다”며 “2022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최소 10억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백신 접종을 강화하는 계획을 세우는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중국 견제에 힘을 보탠 쿼드 국가들과 백신 외교를 강화할 것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지난 3월 13일 첫 쿼드 정상회의에서 인도 백신 생산분을 2022년 말까지 10억 도스 늘리도록 지원하는 실무 그룹을 설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같은 미국의 움직임에 각국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지난 17일 방미 기간에 화이자 백신 1억 회분 추가 공급을 약속받았고, 캐나다는 이날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통화를 통해 추가 지원분을 약속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은 최근 화이자 및 모더나 측과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위한 1600만 회분 공급 계약을 마친 상태로, 한국이 더욱 백신 확보 외교전에서 더욱 뒤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워싱턴 = 김석 특파원 [email protected]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4220103030300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