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43년부터는 병력이 모자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대규모 징집을합니다. 총 20만9천명을 끌고갑니다. 당연히 50만 넘었던 필리핀 주둔 일본군에도 조선인들이 있었습니다. 그 중 최고계급은 병참과 포로담당 사령관 홍사익 중장이었습니다. 이 사람은 창씨개명도 하지않고 별 세개까지 올라갑니다. 결국 바기오에서 야마시타와함께 투항하고 문틴루파에 갇혀있다가 46년 교수형됩니다. 당시 필리핀에는 조선인 군인이 3,017명이 있었는데 마지막에는 미군상륙작전 방어전에 많이 투입됬다고 합니다. 증언에 따르면 44년부터 미군 비행기만 뜨고 배급이 거의 없다시피해서 패전을 짐작했다고 합니다. 해서 미군이 오면 거의 다 산으로 도망갔다고 합니다. 45년 조선일보 기사를 보면 선발대로 배타고 귀국한 군인들의 사진이 있습니다. 3,017명 중 총 951명이 생환하여 생환율 30퍼센트입니다. 인도네시아는 눌러 산 사람도 있었는데 필리핀은 워낙 일본군에 대한 증오가 강해서 남아서 정착하지 못했습니다. 지금 일본과 사이 좋은거 보면 필리핀인들은 금방 잊는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