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에는 댓가,, 무노동에는 무임금..
제목의 내용을 보면 뭐 당연한거 아니냐... 라는 생각을 할수 있겠지요.
그러나 필리핀에서는 이부분이 매우 철저합니다.
노동을 한 시간은 반드시 댓가(시급,주급,월급,팁)가 있어야 하는 것이고
직장에서 일을 하면 당연히 그에 해당되는 급여를 받게 되지요.
그러나 그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구요. 우리나라에서는 보기드문 것이 있습니다.
바로 팁" 문화입니다. 직장에서 일을 하더라도 특별한 경우 타인에게 도움을 주거나
일을 도와줄 경우 또는 써비스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특히나 더 팁" 수입이 많아집니다.
이 모든것이 다 노동의 댓가로 돌아오는 것이지요. 한국 사회는 윗사람 눈치보랴,,아래 사람에게
추월 당하지 않으려면 자진해서 근무 시간 이외에도 일을 더하고 그러죠.. 그렇다고 월급 이외로
돈을 더 주는거 없잖아요. 그러나 필리핀 사회는 그렇지 않습니다. 무슨 이유에서 일을 하게 되었던 간에
일을 하면 반드시 그에 따른 댓가가 따라야 합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철저히 적용하는 나라입니다.
위에서는 어떤 형태로이든 일을 하면 그에 따른 댓가가 반드시 따라다녔지요.
하지만 반대로 일을 하지 않았을때에는 가차없이 그 부분에 대해서는 급여가 지불되지 않습니다.
월급쟁이 니까 하루 이틀 결근을 해도 그냥준다.. 천만에 말씀입니다. 말 그대로 무노동 무임금 입니다.
그런데 이런 원칙을 깨는 사람들이 최근 몆년간 많아져서 다소 혼란을 야기 시키고 있는데요.
그 주인공들은 다름아닌 대부분이 대한민국 사람들 이라고 합니다.
한국인의 정서가 그대로 반영된 사례라고 보여집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한달에 하루,이틀 정도 결근을 했다 하더라도
대부분 정상적인 월급을 지불합니다. 일을 하지 않은 것을 체크하여 공제할 경우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될 소지가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 사람들의 잔정 때문에 웬만하면 정상적으로 월급을 수령합니다.
그런데 그런 정서를 필리핀에 와서도 그대로 적용 시켜서 필리핀 사람들로 하여금 혼동을 야기 시키고 있습니다.
필리핀 사람들은 이미 수십년전부터 무노동 무임금에 아주 익숙되어 있는 사람들 입니다.
그런데 최근 한국인(고용주)들이 이런 관례를 모르고 일을 해도 돈을 주고 하지 않아도 주다보니
무노동 무임금에 익숙해 있던 필리핀 근로자들에게 좋지 못한 습관을 가르쳐준 결과가 되어버렸습니다.
결근,지각,조퇴 등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하지 않은 시간까지도 월급(댓가)를 지불해주니까
일부러 슬쩍 슬쩍 결근도 하고 조퇴,지각등을 적절히 하면서 근무 시간을 회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월급은 정상적으로 받으니 말입니다..
결국 우리 고용주들은 돈을 주고도 뭡니까.. 바보 소리를 듣게 되었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입니다.
봉 이라고 하죠.
우리 이제부터서라도 필리핀 식으로 원래 이들이 알고 있는 정석대로 해야합니다.
일을 하면 그에 따른 댓가를 반드시 주고 일을 하지 않았을 때에는 그게 한시간이든 30분이든
철저히 체크하고 따져서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을 지켜줘야 합니다.
그래야 일을 더 잘합니다. 인정을 베푸는 것은 우리 한국인들끼리였을때 가능한 것입니다.
필리핀에서는 이들이 알고 있는 관례대로 똑같이 적용해 주는것이 최선의 길 입니다.
끝으로 중국인 고용주들을 좀 살펴봤더니 오마이 갓... 이들은 필리핀 고용주들 보다 더 철저하게
아니 속된말로 표현하면 아주 악날할 정도로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하여 단 10분 이라도 뺄건 빼더군요.
그렇기 때문에 중국인들을 두렵게 여깁니다. 우리도 이런 부분에 대해 물컹하게 하지말고 중국인들처럼
매섭게 지독하게 해서 우리 한인들을 함부로 대하지 못하도록 해 봅시다.
인정을 베풀때에는 반드시 명분 있게 베풀어서 존경심을 자아내게 해야 할것입니다.
한국인은 봉이다.. 마사랍 코리안 이라는 말은 더이상 듣지 말도록 우리모두 노력합시다.
필리핀 근로 원칙은 **무노동 무임금** 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 하도록 합시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