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는 세상 짝짖는 일은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 뉴욕주 코넬 대학의 제프 핸콕 심리학 교수가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방법에 따른 거짓말 정도를 조사를 했습니다.
핸콕 교수는 30명의 대학생들에게 10분 이상 이메일, 전화통화, 인스턴스메시지, 직접대화를 한 경우에 각각 얼마나
많이 거짓말을 했는지 기록을 하게 했는데 조사한 결과 e-메일의 경우는 14%, 인스턴트 메시지는 21%, 직접 대화는 27%,
전화 통화는 37%가 거짓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합니다.
(예상과 달리 이메일의 경우가 거짓말이 가장 적은 것은 의사소통의 즉시성과 기록여부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 즉 나중에
책임을 질 일을 생각해서 거짓말을 자제한다고 분석)
직접 대화의 경우에는 대화자들이 종종 상황에 몰려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저는 필녀들이 한국여자보다 거짓말을 더 한다, 안한다에 동의하기가 어렵다고 봅니다.
표본을 어떻게 정의내리냐에 따라 충분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필녀는 거짓말쟁이다. 그래서 저는 이말에 절대 동의를 하지 않습니다.
내가 일본에서 거주할때 유흥업소에 근무하는 한국여자들 도움을 주는 NGO에서 일을 했었습니다.
이야기를 들으면 눈물을 안흘릴 수 없고 도움의 손길을 안 뻗을 수가없었습니다.
일이 해결되고 나서 허무함이란... 쌔빨간 거짓말이 너무도 많았습니다,
그걸 보고 내가 한국여자들 새빨간 거짓말쟁이들이라고 이야기를 하는게 맞는건가요?
그냥 거짓말하는 사람들의 습관일 뿐입니다.
위에서도 통계를 이야기했지만 대학생들 일반 대화속에서도 거짓말이 37%가 있다고 하지 않아요
그러니 극단적 표현은 피했으면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거짓말쟁이가 있는거지
특정그룹을 거짓말쟁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지난 주말에 필리핀여자분들과 사는 3분의 가정과 모임을 가졌습니다.
나는 한국의 가부장적 교육을 받은 사람이어서 그런지 조금 어색함이 있었습니다.
다름아닌 필리핀 아내들에게 너무 잘해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한국분들의 고백 내가 너무 지난날에 못해 주어서 지금은 잘해주려고 한다였습니다.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면 멋있는 가정이 되는 것 아닌가요...
사람 사는 세상 짝짖는 일은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