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것이...
먹을 것이 있어야 윤리 도덕이 나온다
항산항심(恒産恒心) - <맹자(孟子)>
<맹자>에 보면 정치의 요체는 민생과 도덕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백성들의 배를 채우고 그들의 마음을 바로잡아 도덕이 바로 서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정치라는 겁니다. 그런데 민생과 도덕 중에 더 중요한 것이 있다면 바로 백성들의 배를 먼저 채우는 일이라고 합니다. 백성들의 배를 채우는 것을 항산(恒産)이라 하고 백성들이 도덕을 실천하는 것을 항심(恒心)이라고 맹자는 정의하고 있습니다. 맹자는 백성들을 사(士)와 민(民), 즉 선비와 일반 백성 두 부류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士)는 물질적 보상 없이도 도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류입니다. 민(民)은 물질적 보상 없이는 도덕성을 기대하기 힘든 부류입니다. 맹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물질적 토대인 항산(恒産)없이도 도덕적 항심(恒心)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선비(士)만이 가능하다. 백성들은 물질적 보상이 없다면 항심(恒心), 즉 도덕심도 없다.’ 맹자는 나아가 물질적 보상 없이 그들에게 충성과 도덕을 요구하고, 그 충성심을 보여주지 않는 사람을 처벌하는 지도자는 그물을 쳐서 백성들이 그 속에 들어가게 만드는 최악의 지도자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백성들이 먹고사는 것이야말로 왕도정치의 시작이며, 민본정치의 요체라는 것입니다. 윤리와 도덕은 사람들이 가져야 할 중요한 요소이지만 민생의 안정 없이 도덕과 윤리를 강조한다면 백성들은 쉽게 따르지 않을 것이란 의미죠.
無 恒 産, 無 恒 心
무 항 산, 무 항 심
항상 하는 직업이 없으면 항상 하는 마음도 없게 된다.
배가 부르고 등이 따뜻해야 비로소 윤리와 도덕이 생긴다고 합니다. 항산, 즉 민생이 먼저고 항심, 의무와 규칙은 그 다음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먹고사는 것이 불안정하더라도 변치 않고 도덕과 윤리를 지킬 수 있는 사람은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일정한 물질적 토대 없이 윤리만 강요하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항산(恒産)없이 항심(恒心)을 기대하지 마라! 맹자의 엄중한 경고입니다.
항산 없이 항심을 가지고 살 수 있는 사람이 진정 군자입니다.
無 恒 産 無 恒 心
없을 무 항상 항 낳을 산 없을 무 항상 항 마음 심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