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마음을 재계하여 평형을 유지하라!
심재(心齋) - <장자(莊子)>
세상에서 힘든 일 중에 하나가 상대방을 설득하는 일입니다. 내가 아무리 옳은 말을 하더라도 상대방이 받아들이게 하는 것은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장자는 공자와 그의 제자 안회의 대화를 통해 심재(心齋)의 설득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안회가 공자에게 공부를 마치고 위나라로 떠나면서 위나라 왕을 어떻게 설득하여 훌륭한 군주로 만들지 고민하자 공자는 심재(心齋)의 방법을 제시하며 윗사람을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심재는 마음을 재계(齋戒)한다는 것입니다. 내 마음을 먼저 깨끗이 하고 상대방을 대하면 무리 없이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고, 또한 스스로도 다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심재는 내 뜻을 언어를 통하여 귀로 전달하지 말고 마음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나아가 마음으로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기(氣)로 전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귀는 불완전한 청각에 의존되어 있고, 마음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설득하기엔 부족하다는 것이지요. 사람과 사람의 기의 소통, 이것이 장자가 꿈꾸던 소통의 방식이었습니다. ‘마음을 비우고 상대방과 소통하라(虛而待物)! 비우는 것이 심재(虛者心齋)다! 그리고 상대방이 내 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면 마음껏 울어라(人則嗶)! 그러나 상대방이 내 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그 자리에서 그쳐라(不人則止)!’ 언어나 청각으로 소통하지 말고 마음과 기로 소통하라는 장자의 소통방식 심재(心齋)는 다소 신비적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나의 의도와 목적을 버리고 나를 비워서 상대방과 기(氣)로 접속하여 소통하고, 상대방을 받아들이면 결국 진정한 의미의 일체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心齋虛而待物
심 재 허 이 대 물
심재는 마음을 비우고 상대방을 기다리는 것이다.
심재! 오로지 말과 감정으로만 소통하려는 사람이 반드시 생각해 보아야 할 소통 방식입니다. 세상 어느 누구도 강제로 설득할 수 없습니다. 내 마음을 비우고 상대방과 소통하려고 할 때 상대방도 나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상대방이 내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이야기를 멈추어야 합니다.
心 齋 虛 而 待 物
마음 심 재개할 재 빌 허 접속사 이 기다릴 대 사물 물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