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안 트는...
손 안 트는 약을 팔아 장군이 된 사나이
불균수지약(不龜手之藥) - <장자(莊子)>
사물의 가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생각하고 사용 하느냐에 따라 바뀐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모든 생각을 뒤집어 새로운 시각으로 답을 찾아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장자>에 보면 불균수지약(不龜手之藥)이라는 고사가 나옵니다. ‘손(手)을 트지 않게(不龜) 하는 약(藥)’이라는 의미입니다. 송나라에 대대로 빨래만 전문으로 해서 먹고사는 집안이 있었답니다. 이들은 겨울철에도 빨래를 해야 했기 때문에 찬물에 아무리 손과 발을 담그더라도 손발이 트지 않는 약을 만들어 다른 어떤 사람보다 경쟁력을 가지고 빨래를 잘할 수 있었지요. 어느 날 그 지역을 지나던 과객이 겨울철 물에 오랫동안 담그더라도 피부가 트지 않는 약이 있다는 것을 듣고는 그들에게 가서 백금(百金)을 주고 그 끼술을 사겠다고 제안합니다. 그 집안은 비법을 과객에게 넘기고 그 돈으로 농토를 사서 농사꾼으로 변신하였습니다. 업종전환이 일어진 것이죠. 과객은 그 비법을 까지고 오(吳)나라 수도 소주(蘇州)에 가서 오 왕에게 자신을 장군의 직책에 등용하여 줄 것을 청하였습니다. 때마침 항주에 근거지를 둔 월나라가 군대를 일으켜 오나라로 쳐들어왔는데 오나라 왕은 그 사람을 장수로 파견하게 됩니다. 때는 찬바람 부는 겨울철이었고 마침 양자강 유역에서 수전(水戰)을 하게 되었습니다. 손 안 트는 약을 대량으로 만들어 자신의 병사들에게 바르게 한 오나라 장수는 강한 전력으로 월나라 군대를 대패시켰습니다. 대승을 거두고 돌아온 장군에게 오나라 왕은 땅을 떼어서 하사하고 그 장군을 오나라의 대부로 봉하였다는 이야기입니다.
不龜手之藥, 所用之異也
불 균 수 지 약, 소 용 지 이 야
손을 트지 않게 하는 약은 쓰는 용도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진다.
장자는 이 이야기를 하면서 말합니다. “똑같은 손 안 트는 약인데 누구는 그것을 가지고 제후로 봉해지고, 누구는 평생 빨래하는 직업을 못 벗어났다. 이것은 같은 물건이라도 누구에 의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냐?” 기존의 가치에 연연하지 말고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가치를 마들어 낼 때 생존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손 안 트는 약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시겠습니까?
不 龜 手 之 藥
아니 불 틀 균 손 수 갈 지 약 약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