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하면...
궁(窮)하면 통(通)하리라!
궁즉통(窮則通) - 『주역(周易)』
일이 안 되고 도저히 답이 없다고 생각될 때 궁즉통(窮則通)을 외쳐 보십시오. 『주역』에 나오는 말로 궁하면 통한다는 뜻입니다. 세상에 답이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문제는 답이 없다고 포기하는 것이죠. 『주역』에는 이런 상황의 변화를 궁(窮), 변(變), 통(通), 구(久)의 단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도저히 막히고 답이 없어 궁하면(窮) 변하게 되고(變), 변하면 답을 찾아 통(通)하며, 통하면 오래간다(久). 그러나 오래 가면 결국 궁(窮)하게 된다.’ 『주역』의 변화 철학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궁즉통(窮則通)의 논리입니다. 이 논리는 기본적으로 4단계로 되어 있는데 첫째, 궁(窮)은 막바지에 다다른 상태로 일명 궁지에 몰린 상황입니다. 더 이상 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단계죠. 둘째, 변(變)은ㄴ 변화입니다. 궁한 상태가 끝나고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어 답을 찾는 단계입니다. 사람들은 궁지에 몰리면 새로운 답을 찾게 됩니다. 그래서 오히려 위기가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셋째는 통(通)의 단계로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어 안정의 단계로 접어드는 것입니다. 문제가 해결되어 새로운 해답을 완전히 찾게 된 것입니다. 넷째는 구(久)의 단계로 평화가 지속되는 단계입니다. 사람들은 이 단계에서 지나간 변화와 극한 상황을 모두 잊어버리고 나태와 안락에 빠지게 됩니다. 언제 위기가 왔었느냐는 생각으로 그 평화가 계속될 것이라는 착각에 빠지게 되죠. 그래서 어떤 것이든지 오래되면 결국 다시 위기에 몰려 궁(窮)하게 됩니다.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궁 즉 변, 변 즉 통, 통 즉 구
궁하면 변하게 된다. 변하면 통하게 된다. 통하면 오래간다.
『주역』의 세계관에 의하면 세상은 영원한 평화도, 영원한 위기도 없어 보입니다. ‘세상은 가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나니(無往不復) 한 번은 닫혔다 한 번은 열리는 것을 변(變)이라 하고(一闔一闢謂之變), 가고 오는 것이 끝이 없는 것을 통(通)이라 한다(往來不窮謂之通)!’ 『주역』이 바라보는 세계관이자 역사관입니다. 어떤 고난이 있어도 주저앉지 않고 노력한다면 그 궁함이 반드시 통할 것이라는 궁즉통의 철학만 있으면 난세를 현명하게 건널 수 있을 것입니다.
전나무는 가장 혹독한 환경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窮 則 變 則 通 則 久
궁할 궁 곧 즉 변할 변 곧 즉 통할 통 곧 즉 오랠 구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