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거래할 때 '사고차' 인지 구분하는 자가 진단법

1 게시글 | 41 조회수

  •  




    부위별 연결볼트, 고정볼트 자세히 관찰

    보닛을 열고 양쪽 바퀴 위에 있는 펜더의 고정볼트를 확인한다. 볼트의 페인트칠이 벗겨졌거나 뭉개져 있으면 충돌사고를 예측할 수 있다. 보닛을 고정하는 볼트도 살펴보는 것이 좋으며, 보닛에 붙어 있는 설명서가 훼손되었거나 없으면 사고가 추정된다. 도어와 트렁크 등의 연결볼트도 마찬가지로 관찰한다.



    판금, 도색 여부 살피기

    판금 정비를 한 자동차는 햇빛을 통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햇빛과 마주하고 차 표면을 45도 각도로 살펴보면 빗살무늬가 나타나거나 원모양의 자국이 남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중고차구매를 날씨가 맑은 낮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자동차 문의 고무패킹에 페인트칠 자국이 남아있다면 사고차량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자동차 유리창 확인

    각 자동차 업체마다 제조 연월의 표기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든 유리창에는 제조 연월이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다. 차량등록증의 제조 연월과 자동차 유리창의 제조 연월이 다른 중고차는 유리창이 깨져 전체를 교환했을 정도로 큰 사고를 겪었을 가능성이 크다.



    자동차 도어 교체 여부 확인

    자동차 도어가 교체된 자동차의 경우, 성능이나 안전도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사고차량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문을 교체할 만큼 차량 옆면에 사고가 있었다면, 다른 부분의 손상도 함께 있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도어와 펜더 사이의 틈새를 확인해본다. 문을 여닫을 때 부자연스러운 점도 점검하는 것이 좋다.



    운전석 계기판 체크

    계기판을 잘 살피면 사고 여부와 주행거리 조작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기계식 계기판의 경우, 숫자배열이 균일하지 않거나 서로 어긋나 있으면 계기판 볼트에 드라이버를 사용한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전자식 계기판의 경우 조작보다는 중고계기판으로 교체하는 경우가 있다. 연식에 비해 주행거리가 지나치게 짧다면 사고차량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