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백정은 눈으로 보지 않는다

포정해우(庖丁解牛) - 『장자(莊子)』

  어떤 분야든 최고가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단순히 기술이 뛰어나다고 해서 최고가 되는 것도 아니고, 아는 것이 많다고 최고라 하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박사(博士)보다 더 높은 도사(道士)가 있는 것입니다. 『장자』에 나오는 ‘포정해우(庖丁解牛)’는 실력 있는 도사(道士)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포정(庖丁)은 전국시대에 살았던 최고의 백정입니다. 어느 날 포정이 궁정에서 소를 잡고 있었는데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신기에 가까웠습니다. 지나가다 그 모습을 본 문혜왕은 감탄하여 포정에게 소 잡는 도(道)를 물었습니다. 포정은 칼을 놓고 왕에게 이렇게 말했죠. “제가 처음 소를 잡았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습니다. 3년이 지나니 소의 겉모습은 눈에 보이지 않고 소가 부위별로 보이게 되더군요. 그리고 19년이 지난 지금 저는 눈으로 소를 보지 않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고 소의 살과 뼈, 근육 사이의 틈새를 봅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칼을 지나가게 합니다. 이런 기술로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와 부딪힌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백정이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칼을 가지고 소의 살을 베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배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칼로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이 뼈와 살, 근육 사이에는 틈새가 있기 마련이고 그 틈새로 칼날을 집어넣어 소를 잡기 때문에 칼날이 전혀 무뎌지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이 19년이 되었어도 제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이것이 소를 잡는 저의 방법입니다.”

庖丁解牛

포 정 해 우

포정의 소 잡는 도(道)

  고수는 칼을 휘두를 때 피를 보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길을 알고 원칙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입니다. 선무당이 되어 여기저기 사람 잡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고수와 선무당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그 결과는 참으로 엄청납니다. 제발 이 사회를 피 흘리게 만드는 선무당이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도사(道士)는 지식이 아니라

영혼으로 세상을 볼 줄 아는 사람입니다.

庖  丁  解  牛

부엌   백정 정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