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의 사자성어
안녕하세요, 한량입니다.
서핑을 하다보니, 올해의 사자성어란이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우리의 가카께서는 임사이구(臨事而懼)라 했습니다 세종대왕의 '어려운 시기에 큰일에 임하여 엄중한 마음으로
신중하고 치밀하게 지혜를 모아 일을 잘 성사시킨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합니다. (저두 지금 알았네요)
머..서이동풍이 아닌가 싶은데..암튼..ㅎㅎ
국개의원님들의 사자성어는 '역궁즉변'(易窮則變)이라 합니다. '궁하면 통한다' 와 비스한 말이 되겠네요.
때마다 너무나 잘 변하는 의원님들 다운 말입니다.
이 밖에 다른 국개의원님들의 주뎅이에서는...
'부위정경'(扶危定傾)- 위기를 맞아 잘못됨을 바로 잡고 나라를 바로 세운다'
'반근착절'(盤根錯節) - 구부러진 나무뿌리와 어긋난 나무 마디란 뜻이랍니다. 한마디로 골치가 아프다 할수 있네요.
'산중수복'(山重水復) - 갈길은 먼데 길은 보이지 않고 난제가 가득한 형국. 역시 골치아프다.
'대오각성'(大悟覺醒) - 반성하고 돌아볼 일도 많았다는 뜻. 맨날 대오각성해도 모자를 듯.
직장인들의 사자성어가 조금 현실적입니다.
‘수무푼전(手無分錢)’ - 땡전 한푼 없다. 라는 말이죠. 10원 벌면 20원 올라가는 물가에 빗댄게 아닌가 싶네요.
백수/백조들의 사자성어가 재미있습니다.
- 망자재배 [芒刺在背] - 가시를 등에 진다는 뜻으로, 주위에 꺼리고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어 마음이 편치
- 않음을 가리키는 말. 눈칫밥 먹고 사는게 힘들다는 거지요...
- 복덕방 아자쒸, 아줌마들의 사자성어 입니다.
- 백약무효(百藥無效) , 설상가상(雪上加霜) 이라고 합니다. 대중 슨상님때 올려놓고, 놈현 정부가 조금 죽이고,
- 가카께서는 올리려 노력했는데, 폭삭입니다. ㅋㅋ
- 그냥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안 내용입니다. 제 머리속에 없던 거였는데, 이렇게 한번 정도 쓰면 좀 더 기억이
- 날까해서 써봅니다.
- 개인적으로 필리핀 생활의 사자성어는 화이부동(和而不同) 입니다. 다른 한인 분들과 어울리기는 하되,
- 줏대는 가지고 살자라고 하고 싶네요.
- 여러분들도 한번씩 생각을 해보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 날 입니다. 분주했던거 조금 여유도 가지시고,
- 안좋았던 일, 털어버리시고 새해 맞으시기 바랍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꾸벅)
- 한량 이재호 올림.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