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개발도상국 맞습니다. 하지만....
필리핀이 개발도상국 선상에 있다는 말은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edsa길 옆편으로 커다란 간판 사이들로 보이는 많은 판자집들은 손으로 하늘을 가리는 모양새이고요,
톤도 지역은 필리핀 현지인들도 들어가기 꺼려하는 지역이며, 바퀴벌레는 귀엽게 느꺼질 정도로 쥐들과 함께 생활하는 필리핀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아직까지 벼룩이나 이를 몸속에서 키우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런 모습들 뒤에 상류층들의 생활은 가히 상상 초월입니다.
자가 헬리곱터를 타고 오늘은 다바오에 무엇이 맛있으니 그쪽으로 가서 점심먹고, 마닐라에서 일을 본 후 저녁에는 세부로 가보아야 한다는 사람도 보았습니다.
그들은 남에게 베풀어주기를 참 좋아합니다. 브랜드 명품도 입지 않습니다.
상당히 겸손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 전부 다 그렇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그런 분들께는 정말 가슴으로 존경심이 생기지요.
부잣집에서 태어나 그 부를 이어받인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들도 많았습니다.
부지런함과 절약 정신이 그들을 현재 위치까지 올려놓은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필리핀 상류층들의 이야기를 하려 글을 쓰는 게 아닌데 이야기가 이상한 쪽으로 흐르네요.
우리 한국인의 모습을 살펴봅시다.
필리핀에 오신 분들, 필리피노들에게 더 할 나위없이 무례하게 굽니다.
메이드들과 드라이버들에게 소리지르는 건 예사로 여깁니다.
물론 못마땅한 부분이 있겠지요. 하지만 입장을 바꾸어놓고 생각했을 때 누군가에게 욕을 쉽사리 먹고 자신을 무시한다고 느껴졌을 때 기분 좋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이 곳에서는 "Thanks, pls, Sorry" 이 단어들은 잊어버리고 사시지요.
그런 분들이 미국에 가면 입에 달고 사는 단어들입니다. (말이 안 통하니 이거라도 하자라고 하십니다)
한국이 선진국 대열에 선 것은 불과 얼마 되지 않습니다.
면세점 어느 곳을 가보아도 여행객들이 명품을 산다고 죽 늘어서 있습니다.
마치 명품을 사려고 여행하는 것처럼. 한국인이 살 때는 제한이 있으니 제 영주권 빌려달라 합니다.
왜 그렇게 까지 해야하는 걸까요? 명품없다고 누가 뭐라하지 않습니다.
나라가 선진국이라 해서 국민의 정신 세계가 같은 선상 에 있을까요?
한국인의 마인드는 아직까지 개도국 상태입니다.
외국에서 한국인이 중국인이나 일본인만큼 대우받지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쓴소리라 삼키고 싶으시지 않겠지만 우리는 변해야 합니다.
저 역시도 필리핀 사람들의 마인드를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지만 우리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부분을 지키고 나서 이야기해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무시해도 좋을 사람은 있지만 무시를 당해 좋을 사람들은 아무도 없습니다.
한국이 경제 선진국인 만큼 우리의 행동 역시 선진화되었으면 합니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