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 안-, 않-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해야할까요?
재외동포재단에서 보내오는 한국어 교육 컨텐츠를 보면서
저도 가끔 혼동하는 ~ 않, ~안의 사용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하는데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
'안‘과 ’않‘을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과 ’않‘을 쓰는 원리는 생각보다 아주 간단합니다.
한국어에는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가진 문장을 만들 때 용언 앞에
‘안’을 쓰는 방법과 용언의 어간 뒤에 ‘-지 않다’를 붙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을 사용하는 부정문은 ‘짧은 부정문’이라고 부르는데
‘긴 부정문’인 ‘-지 않다’와 서로 교체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안’은 ‘(용언 앞에 쓰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나타내는 부사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어떤 행동을 안 하다’를 나타내는 동사나 본용언 뒤에서 ‘-지 않다(아니하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용언이므로 어미와 결합하지 않고서는 단독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용언 앞에는 용언을 수식하는 부사 ‘안’이 오고, 용언 뒤에는 보조 용언 구성인
‘-지 않다’가 오게 되는 것입니다.
(예1) 안 춥다 (안 춥다) / 눈이 안 온다 (눈이 안 온다) / 친구를 안 만난다. (친구를 안 만난다)
(예2) 영화를 보지 않는다.(영화를 보지 않는다) / 예쁘지 않다(예쁘지 않다). / 쉽지 않다.(쉽지 않다.)
즉, (예3)과 같이 '안' 과 '않' 앞에 '-지'가 있는 경우에는 ‘않’이 온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예3) 공부를 하지 안았다.(X) / 공부를 하지 않았다.(O) (공부를 하지 않았다)
공부를 안 했다.(O)(공부를 안 했다.(O) ) / 공부를 안 했다.(X)
또한, 문장에서 '안'이나 '않'을 빼도 그 문장이 어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대부분 '안'을 씁니다.
(예4) 도시락을 먹는다. (도시락을 먹는다.)
도시락을 안 먹는다.(O)(도시락을 안 먹는다) / 도시락을 않 먹는다.(X)
마지막으로, (예5)와 같이 ‘하다’를 사용해서 짧은 부정문을 만드는 경우에는 ‘하다’ 앞에 ‘안’을 쓰는 것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5) 수영을 안 한다.(O) (수영을 안 한다 )/ 안 수영을 한다.(X) / 안 수영한다.(X)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