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jpg

중국과 필리핀이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도서를 둘러싸고 무력충돌하면 미국이 필리핀을 지원할 것이라고 미 해군 참모총장 조나단 그리너트 제독이 밝혀 주목받고 있다.

13일(현지시간) 필리핀 일간지 인콰이어러 등에 따르면 필리핀을 방문 중인 그리너트 총장은 국방대학에서 한 연설에서 "미국은 필리핀과의 상호 방위조약을 존중한다"며 "(분쟁 시)물론 미국은 필리핀을 지원할 것이며, 이는 조약에 따른 미국이 지켜야 할 의무"라고 밝혔다.

해당 발언은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가장 명확한 메시지이다.

미국은 그동안 중국과의 관계 악화 우려로 필리핀, 베트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대만 등 국가가 중국과 벌여온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문제에 대해 명확한 비판 입장을 밝혀오지 않았다.

그리너트 총장은 이어 "국제 규범에 어긋나는 공격적 행위는 좋은 질서에 어긋난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고 싶다"며 "향후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의 이 같은 방향으로 하는 일부 발언을 들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런 발언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서태평양에 배치된 미 해군의 군함의 수를 현재 50여 척에서 오는 2020년까지 60척으로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필리핀 정부가 유엔에 남중국해 분쟁 도서들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무력화해 달라고 요청한 것은 '기발한 아이디어'라면서 중국이 당장 유엔을 통한 해결 노력에 동참하지 않더라도 "필리핀이 현재의 자세를 유지한다면 결실을 볼 것"이라고 격려했다.

한편 이에 앞서 존 케리 미 국무장관도 작년 12월 필리핀 방문에서 남중국해상에서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을 경고하면서, 1951년 체결된 미-필리핀 상호방위조약에 대한 준수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이후 미 고위 관계자는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영해 주권 주장에 대해 끊임없이 비난 공세를 벌였고, 중국은 '매우 무책임한 행위'라며 반발해 왔다.

이밖에 베그니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이 중국을 나치에 간접적으로 비유한 것으로 파문이 일자 급히 철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