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하세요 필리핀이 세계경제 14위로 올라온답니다.
골드만삭스, 필리핀 2050년에 세계 14위 경제대국으로 성장 전망 - 연평균 5% 이상의 경제성장, 풍부한 인적·천연자원, OFW 파견 등 -
□ 골드만삭스는 필리핀이 OFW 송금액, 안정된 내수시장, 인프라 개발 등으로 지속 경제성장 전망, 2050년에는 세계 14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
□ 필리핀 경제, 추락에서 비상하기까지 노정
○ 1980년대 중반까지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거대 경제권을 보유한 국가였음. 그러나독재정치에 의한 정치적인 불안정성, 만연된 부정부패 의식구조, 경기침체로 인한 높은 외국부채 등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로 추락
○ 1990년대 후반부터 혁신적인 경제 개혁을 통해 Asia's Tiger Cub Economies로 선정된 바 있으며, 특히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때 안정된 내수시장으로 다른 국가보다높은 경제 안정성을 보여준 바 있음.
○ 필리핀의 경제는 2012년 3분기에 전년 대비 7.1% 성장했고,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Global Competitiveness Index(2012~2013)에 따르면 필리핀의 국가경쟁력은 전년 대비 10단계 상승한 65위를 기록하면서 경쟁국 대비 높은 성장을 기록 - 공공기관 신뢰도는 23단계 상승한 94위, 정치가에 대한 신뢰도는 33단계 상승한 95위, 청렴도는 11단계 상승한 108위, 거시경제환경은 19단계 상승한 36위를 기록하면서 필리핀의 시장규모(35위)와 함께 가장 괄목할만한 성장으로 꼽혔음.
○ Philam Life의 Mr. Junie Banaag 부사장은 2010~2012년 동안 필리핀주가지수(PSEi)의 평균 성장률은 32%를 기록, 이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독일(DAX), Dow Jones의 주가지수 성장률을 추월했다고 밝힘. 이를 반영하듯 필리핀 경제는 최근 3년간(2009~2011년) 연평균 5% 이상의 놀라운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음.
○ 미국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도 필리핀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2050년에는 세계에서 14위의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함.
2050년 필리핀 경제성장 전망치
자료원: Goldman Sachs
□ 1인당 국민소득(GDP) 10년간 2배 성장, 거대 잠재 소비시장
○ 필리핀의 2001년 1인당 GDP는 1146달러를 기록했으나 2011년 1인당 GDP가 2000달러대를 기록하면서 10년간 2배 성장을 달성 - Biz News Asia는 필리핀 1인당 GDP가 향후 5년간 16%씩 성장한다는 가정하에 2017년에는 GDP가 5682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함.
○ 필리핀 인구는 1억 명에 육박하는데, 이는 멕시코(1억1000만 명)보다 적고 베트남(9000만 명)보다는 많은 세계 12위 인구 대국(비공식적으로 이미 1억400만 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
2011년 세계 인구 순위
자료원: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2-2013
□ 국가예산의 두배에 달하는 해외노동자(OFW) 송금액
○ 필리핀 사람들은 비교적 영어 구사가 자유롭고 뛰어난 손기술·온순한 국민성을 보유하고 있어 인구 1억 명 가운데 10% 수준인 1000만 명이 해외근로자로 근무 - 이들이 송금하는 송금액은 매년 200억 달러 수준으로 2011년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50억 달러)의 네 배에 달하는 규모로 필리핀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 수행 - 2012년 기준 전 세계 국제 송금액은 2010년 대비 12% 증가한 372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필리핀은 전 세계 국제 송금액 중 5.6%를 차지했음.
□ 세계 43위의 경제규모
○ 월드뱅크 집계기준 필리핀 GDP 수준은 2248억 달러 수준으로 말레이시아(2786억 달러), 핀란드(2660억 달러), 칠레(2485억 달러), 홍콩(2436억 달러), 싱가포르(2397억 달러), 포르투갈(2375억 달러)과 비슷한 규모임. - 필리핀은 높은 경제성장률, 인프라 개발에 따른 고용 창출, 지속적인 인구증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GDP는 지속 성장할 전망
2011년 세계 GDP(명목) 순위
자료원: World Bank
□ 시사점
○ 국가의 부를 측정하는 방법인 IWI(Inclusive Wealth Index)는 국가의 고정자산(제조산업, 인적자원, 천연자원 등)을 통해 평가하는데, 필리핀은 풍부한 인적자원·천연자원·문맹률 5% 수준 등 다른 국가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음. - 특히 천연자원 중 광물자원은 세계 10대 광물 부국으로 꼽히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와 함께 3대 광물 부국으로 분류됨.
○ 반면 취약한 제조업 기반, 인구 증가에 못 미치는 일자리 창출 능력, 극심한 빈부격차 등은 필리핀이 건전한 경제성장을 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 - 필리핀 제조업은 외투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막대한 OFW 자금도 제조업 육성보다는 개인소비로 흘러들어 가고 있어 왜곡된 경제발전 유발 - 주력 서비스 산업인 BPO도 저렴한 인건비에 기댄 산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음.
자료원: Biz News Asia, 코트라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
|||||||||||||||||||||||||||||||||||||||||||||||||||||||||||||||||||||||||||||||||||||||||||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