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주인 인가..?
오래전 광안리 바닷가에 커피집 이 하나있었다.
그때는 광안리가 번창하기 전이라 7층건물들이 빈가계가 태반이였었는데
2층에 커피숍이 하나있었다.
우연히 들런 그집은...
스피커가 내키만하고 진공관 불빛이 몇개씩 연결된 그야말로
"소리"를 제대로 내는 좋은 기계를 갖추었고 창가쪽은 광안리 바다가 보이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집이였다.
안주인인듯 싶은 여자분은 창가쪽 테이블에 앉아 뜨게질을 하고있었고
함께 앉아있든 나이든 남자분이 커피를 내주었다.
나중에 알고보니 그양반이 부산 엠비시 에서 무슨 음악프로 디제이 를 담당했었다 한다.
그 클래식 음악소리가 참으로 좋았었는데.
문제는.
그때 내가 느낀 분위기는 음악을 듣고 커피를 마실수있는 편안한 공간이 아니라
그 "두사람" 의 편안한 공간을 내가 침범하고 있다는 거였다.
음악을 사랑하고 전공하는 두사람이 음악다방 을 꾸려놓고 손님을 맞는
영업을 라는곳이였는데 손님 입장에서는 결코 편하지않고
불편하고 어색하고..
손님으로서의 권리나 어떤 요구를 감히 할수없는 느낌을 갖게하는 묘한 곳이였다.
결국 그이유는 그 두사람의 주인의식이 영업장 에 그대로 느껴져서이다.
그렇게 좋은 음향시설에다가 바다가 보이는
아름다운 장소였는데도 불구하고 그후로 두번다시 그집을 가지않았다.
그런 경우들을 그 후로도 가끔씩 느껴졌었는데 한창 유행하든 "가든" 이라는데..
시골길 옆에 이층집지어놓고 일층은 영업장소 가계 그리고 이층은 살림집..
그런집들이 결국 그런 분위기때문에 손님을 끌수가 없어서 다 문닫고말았다.
손님은 내가 즐기는 곳이여야한다.
고객으로서 당당할수있는 영업장소...주인은 서비스 정신으로 무장된
그런 곳만이 "영업을 위한공간"이라 할수가 있다.
또 고객은 당연히 그런 영업을 원한다.
대한항공..
사건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나는 문득 왜 그 생각이 떠올랐을까?
그 "주인" 들은 그동안 어떤 생각을 으로 고객 을 대했을까?
그냥 내비행기 (적어도 조..머시기란 여자의 행태를 보면) 얻어타는 잉간들
이상 아무것도 아니였다.
아주 잘못된 주인의식의 발로다.
만약 당신이 대한항공을 탄다면..
조 머시기 란여자 가 주인인 비행기를 "얻어탄다"는 거 명심하라..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