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종속된 필리핀 경제… 두테르테가 오바마와 싸울 수 없는 이유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결국 비공식적으로나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만났다. 오바마에게 “욕을 해주겠다”며 강경한 자세를 보였던 그였지만, 파문이 일자 유감 표명 뒤 만남까지 가지며 자세를 낮춘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두테르테가 오바마에게 싸움을 걸 수 없는 이유로 ‘미국에 크게 의존적인 경제 상황’을 지적했다. 싱가포르 최대은행인 DBS 그룹 홀딩스의 이코노미스트 군디 카야디는 “두 나라 간 연관관계는 꽤 크다”라며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기도 하지만 이를 넘어서 모든 분야에 있어서 복수의 비즈니스 관계가 있다”라고 했다.
실제 필리핀 경제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 필리핀 경제는 지난해 3분기 이래 6% 성장했는데, 미국과의 교역과 미국의 투자가 이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인 것은 미국에서 일하고 있는 필리핀인들이 고국으로 송금하는 돈이다. 2013년 기준으로 약 1000만명의 필리핀인들이 해외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이 중 미국에서 일하고 있는 이는 350만 명에 육박한다. 필리핀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해외의 필리핀인들이 고국으로 송금한 돈은 2015년 기준 258억 달러인데, 이 중 31%는 미국에서 보내온 것이다. 미국에서 직접 송금해 온 것만 해도 필리핀 GDP(3100억 달러)의 2.5%에 달하는 것이다. 이는 필리핀 외화벌이의 핵심 원천이 된다.
미국과의 무역 역시 중요하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필리핀의 두번째 교역상대국이다. 양국의 수출입 규모는 2010년 이래 지난해까지 23% 증가해 180억 달러에 이른다. 필리핀은 주로 미국에 전기 기계와 직물 등을 수출해, 상당한 무역수지 흑자를 보고 있다.
미국은 또 네덜란드, 일본, 한국에 이어 필리핀에서 4번째로 큰 투자국이기도 하다. 필리핀 통계당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투자액은 200억(4600억 원) 페소가 넘는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