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중단 책임 '본인 부담' 외교부 홈피 "무관여" 입장 비용 아까워 귀국결정 못해 한국 부모들은 '발만 동동' 로밍서비스 신청 안한 경우 신변유의 문자메시지 안와 "최소한의 자국민도 안챙겨" 대사관, 안전확보 지역 해명 계엄령이 발효된 필리핀 민다나오섬 다바오시에 17살 딸을 유학보낸 아버지 김모(48·성남)씨는 필리핀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불안감에 휩싸여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있다. 계엄령이 발효된 같은 다바오시인데도 한국인 유학생이 머물고 있는 유학원 지역은 비교적 안전하다는 이유로 철수 및 환불 등 정부차원의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딸의 안전을 위해 바로 유학을 중단하고 귀국시키고 싶어도 수백만원에 달하는 그간 들인 유학비용과 취소 수수료에 선뜻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필리핀 마닐라에서 어학연수 중인 대학생 장모(23·여)씨는 어학원 숙소 인근의 호텔 리조트월드에서 테러로 의심되는 폭발사고가 발생했지만, 외교부 및 대사관에서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했다. 장기체류로 인한 휴대전화 비용이 부담돼 현지 통신사의 유심(가입자인증식별모듈·USIM)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외교부 및 대사관에서는 국내 통신사의 로밍서비스를 신청한 이들에 대해서만 안전정보 문자메시지(SMS)를 보내고 있다. 장씨는 "5개월째 마닐라에 머물고 있고 비상 연락처도 대사관에 제출된 것으로 아는데 최소한 자국민의 안전을 확인하는 정도의 전화 등 조치는 이뤄져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6일 외교부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자국민 3만2천200여명이 어학연수 및 유학으로 체류 중이다. 계엄령이 발효된 다바오시에도 학생 17명을 비롯해 270여명이 유학원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계엄령 및 호텔 폭발사고, 외국인 실종 등 최근 필리핀의 불안한 치안에 '여행 유의' 지역으로 분류하고 여행에 대한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현지에 머물고 있는 자국민 및 유학·어학연수생에 대해서는 안전에 유의하라는 문자메시지 정도만 전송하고 있어 안전확인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현지 통신사의 유심을 사용하는 자국민에 대해서는 문자전송 시스템조차 구축돼 있지 않다. 게다가 유학 및 어학연수에 대한 취소·중단에 대한 책임도 모두 자부담으로 떠넘기고 있다. 실제 외교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유학 등 취소에 대한 책임은 개인적인 일로 정부가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한 상태다. 공정거래 표준약관 상 어학연수에 대해 시행 전만 일부 수수료를 공제하고 환급토록 돼 있을 뿐, 이미 유학 중일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와 주필리핀대사관 관계자는 "홈페이지 및 SNS·문자 등을 통해 여행객뿐만 아니라 교민·유학생 등에 대해서도 신변 안전유의를 당부하고 있다"며 "다바오시 내에 위치한 유학원의 경우 안전이 확보된 지역이라 철수 등에 대한 조치를 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