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해외유입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가 그간 위험한 상황이 있을 때만 때때로 시행하던 '국가별 코로나19 위험도 평가'를 정례화하기로 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오늘(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앞으로 국가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과 국내 유입 확진자 추이를 고려해 국가별 위험도를 분석해서 매 2주마다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그동안 확진자가 증가하는 국가로부터의 환자 유입을 줄이기 위해 비자 제한이나 항공편 감편 등의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한 바 있는데, 이를 정기적으로 하기로 한 겁니다. 이 국가별 코로나19 위험도 평가에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외교부, 법무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며, 해외 위험도에 대한 모니터링은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상시적으로 시행해 매주 관계 부처들에 공유할 예정입니다. 김 1총괄조정관은 "이 평가를 바탕으로 부처간 회의를 거쳐 방역 강화 대상 국가, 추이 감시 국가, 교류 확대 가능 국가의 세 가지 유형으로 지정해 관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양민철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