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스인데, 필리핀에도 관련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올해말까지 21억개면 2차 접종까지 생각해서 내년 중반은 되야 필리핀까지 전원 공급이 되겠네요. 그러나 더 추가 생산할수도 있고(수요는 엄청나니까...) 일단 백신 나오면 공포감은 많이 사라질것 같습니다. 이하 기사내용입니다. --------------------------------------------------------------------------------------------------- 영국의 옥스퍼드대가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데, 백신을 맞은 사람들 모두에게서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항체가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게 의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짚어 드리겠습니다. <기자> 인체에 무해한 운반체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 속에 코로나19 유전자를 담아 주사합니다. 이 바이러스가 피부 바로 아래 섬유 조직에 닿으면 코로나19 유전자가 면역반응을 유도합니다. 영국 옥스퍼드대가 개발하고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시험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의 세계 최대 규모 임상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15~85세까지 참가자 1,077명에게 투여한 결과 1차 접종 한 달 후 91%, 그중 10명은 2차 접종했는데 전원에게서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항체가 발견됐습니다. 항체의 양은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와 비슷했습니다. 항체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면역세포도 100% 활성화됐습니다. 심각한 부작용 없었지만, 두통, 피로감 등은 많은 사람에서 나타났습니다. 국제백신연구소는 효과가 높으면서도 위험성이 적은 게 확인됐다고 했지만 공급에 대한 우려는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제약사는 올해 말까지 21억 회 투여분을 생산할 예정인데 임상에 참여한 영국과 미국 그리고 유럽동맹 4개 국가에 우선 8억 회 분을, 중-저소득 국가에 13억 회 분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오늘(21일) 국내 제약사가 생산에 합류하기로 협약을 맺었지만 국내 물량 확보 전략이 필요합니다. 백신 접종은 이르면 내년 초쯤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송만기/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 : 임상 3상을 잘 진행해서 실제로 백신을 접종한 후 방어가 되는지를 확인을 해야 됩니다. 결과가 잘 나온다면 내년 초에는 접종 할 수 있지 않을까?] 국내 접종을 늦추지 않으려면 여러 종류의 국내외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해 국내 임상을 시작해 놓는 게 유리합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화면제공 : 한국 아스트라제네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