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종교시설 관련한 코로나19 감염이 다시 확산되는 가운데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면예배 허용 논란에 대해 방역 당국이 "대면예배를 위한 감염이 사실상 지금까지는 거의 없었다"며 제한적 허용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당국은 다만 "이후 식사 모임, 폐쇄공간에서의 모임은 환자가 양산되고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2.5단계 관계 없이 금지"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비대면 기자단 백브리핑을 열고 대면예배는 "낮은 수준의 밀집도를 유지하면서 방역수칙을 엄격히 지킨다면 대면예배 자체가 감염 위험도를 높이는 행위는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정규 종교활동은 거리두기 2단계에서 좌석의 20%, 2.5단계에서는 10%까지 입장해 대면 종교활동이 가능하다. 손 반장은 "밀집도가 상당히 낮고, 마스크 착용, 손씻기, 사전 방역 조치 등이 이뤄지기 때문에 교회에서 대면예배를 통한 감염이 사실상 지금까지는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속적으로 당국이 당부해 온 정규 종교활동 외 종교 관련 모임 금지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정규 종교활동) 이후 식사 모임, 폐쇄 공간에서의 모임이 이뤄지는 경우 환자 수가 계속 양산되고 있다"며 이는 "2단계, 2.5단계 관계없이 금지"라고 재차 밝혔다. 5인 이상 사적 모임을 금지하면서 설 명절 기간 동안 가족 간 만남이 어려워진 가운데 종교활동은 허용하는 것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는 "(해당 조치는) 가족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소모임을 통해 개인 간 접촉을 통한 확산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조치"라며 "집 안에서 방역 수칙을 엄격히 지키며 활동하는 것이 거의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조치를 내렸다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춘희 기자 [email protected]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839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