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이하 현지시간) 중국 푸젠성 샤먼의 하이웨호텔에서 한중 외교부장관회담이 열렸다. 외교부는 “이번 회담에서 양국 장관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고,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도 추진하기로 했다”며 성공적이었던 것처럼 전했다. 반면 중국 외교부는 “한국이 현지 중국인에게 (중국산) 백신을 접종하는 계획을 지지했고, 한중 간 백신여권 상호 인증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진핑 방한과 관련해서는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고, 한류 금지령 해제 요구는 거절했다. 중국 외교부 공개한 회담 내용 보니… 한국, 중국산 백신 인정할 듯 중국 외교부는 3일 홈페이지를 통해 회담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한중 양국은 건강코드 상호 인증을 위한 공조를 강화하고, 백신 협력을 전개하여 패스트트랙(신속한 출입국)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이 중국의 ‘춘먀오(春苗)운동’을 지지했다”고 주장했다. ‘춘먀오운동’이란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인과 화교들에게 중국산 우한코로나 백신을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3월7일 양회 당시 기자회견을 통해 “적지 않은 중국인들이 해외에서 중국산 (우한코로나) 백신을 맞고 있다”면서 “여건이 되는 나라에서는 중국산 백신 접종센터를 설립해 (춘먀오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2월 말 기준 국내 거주 중국인은 조선족을 포함해 110만1782명이다. 즉, 중국 측 발표대로라면, 정부가 안전성을 검증하지 않은 중국산 우한코로나 백신 수백만 회분을 국내로 들여오는 것에 동의했다는 뜻이다. 이는 또한 “한국이 건강코드 상호 인증 체제를 도입하는 데도 동의했다”는 중국 측 발표와도 연결된다. ‘건강코드 인증’은 중국식 백신여권이다. 중국은 자국산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만 ‘건강코드 인증’을 부여한다. 한국이 중국과 ‘건강코드 상호 인증’을 추진하고 ‘패스트트랙’ 적용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는 말은 중국산 백신을 맞은 중국인은 ‘면역’된 것으로 간주하고, 한국에 제한없이 입국하는 것은 물론 자가격리를 하지 않게 된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1/04/05/20210405001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