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으로 인해 필리핀 빈곤층 가정의 식자재 구입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2%(2015년)에서 16.6%(2018년)로 하락하다가 다시 급상승 코로나 장기화로 일자리‧수입 감소, 물가 상승 등이 원인 극빈층에 현금 보조 등의 정책 시급 12월 17일 필리핀 정부는 코로나 장기화로 2021년 필리핀 빈곤율이 23.7%로 상승했다고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발표했다. 필스타(PHILISTAR)‧인콰이어러(INQUIRER)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필리핀 통계청은 3년마다 국가 빈곤율을 조사해왔다. 2015년 조사에서는 22%, 2018년에는 16.6%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2021년에는 23.7%로 다시 상승했다. 이번 조사에서 빈곤층으로 집계된 필리핀인은 2,614만 명으로, 이는 2018년의 2,226만 명보다 약 390만 명 증가한 숫자다. 필리핀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인 데니스 마파(Dennis Mapa)씨는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한 각 가정의 수입 감소와 일자리 감소, 물가 상승 등이 빈곤층 증가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 상반기에는 반복된 락다운 등의 영향으로 교통‧서비스 분야에서 일하는 다수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로 해외에서 일하던 필리핀 노동자들의 상당수가 귀국하면서 필리핀 경제를 지탱해오던 해외 송금도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또한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돼지고기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돼지고기를 비롯한 식품류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필리핀의 2021년 가계 소득은 2018년 대비 4.5% 상승했지만, 물가 상승으로 월 최저 생계비 또한 가구당 1만532페소(한화 약 25만 원)에서 1만2,082페소(한화 약 28만 6000원)로 14.7% 증가했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한편 12월 24일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Philippines Daily Inquirer) 보도에 따르면, 상원의원 출마 후보자인 에스쿠데로(Francis “Chiz” Escudero)씨는 “수백만 명의 필리핀인들이 여전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00만 명이 넘는 필리핀인들이 식탁에 음식을 놓을 여유가 없고, 일자리가 없는 420만 명의 필리핀인들이 여전히 힘들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정부의 빈곤 데이터와 빈곤 대처 전략에 단절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4P(Pantawid Pamilyang Pilipino Program)의 수혜자 명단을 검토할 것을 사회복지개발부에 촉구했다. 4P는 0-18세 아동의 건강, 영양 및 교육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극빈층에게 조건부로 현금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부의 조치이다. 사회경제기획부 칼 켄드릭 추아(Karl Kendrick Chua) 장관은 "코로나 검역이 엄격한 지역은 덜 엄격한 지역에 비해 빈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엄격한 검역 지역에서는 구직 활동도 제한적이었다“면서 “정부가 추가 제한을 완화하고 백신 접종을 확대하면서 2021년 하반기에는 경제가 크게 성장하고 빈곤율이 차츰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필리핀 정부는 2022년까지 빈곤율을 14%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154013/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