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아도보·우베 등 전통식재료 기반 디저트 전통적 강한양념 각국 여행자 입맛 유혹 필리핀 음식은 미국, 스페인 등 구미주와 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의 문화가 교류하는 과정에서, 혹은 침략에 의해 강제적 이식되는 과정 등을 통해, 퓨전화된 측면이 많다. 미식의 십자로 답게, 각국의 여행자들의 입맛에 대체로 맞다. 외세의 영향이 있었음에도 필리핀, 특히 세부-보홀 음식의 특징 중 변치 않는 것은 ▷양념에 재운 고기류 아도보(Adobo), ▷해산물 탕류인 시니강(Sinigang), ▷우베(Ube)와 투론(Turon) 등 세부-보홀 만의 전통식재료 및 조리법에 기반한 간식 및 디저트 ▷다른 동아시아국가들에 비해 양념이 강하다는 점 등이다.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요리는 치킨 아도보 즉 닭찜이고, 돼지고기 양념 조림도 웬만한 식당에서 만날 수 있다. 돼지고기의 경우 튀겨서 내오는 경우도 많은데, 레촌(또는 크리스피 파타) 즉 튀긴 족발이 대표적이다. 세부의 세레니티팜에선 가지 및 호박, 파프리카 등 갖은 채소 볶음인 피낙뱃(pinak bat)과 다소 시큼한 맛이 있는 필리핀식 시금치 볶음 카모테(camote)를 내어왔다. 해물탕류로는 돛새치과 생선과 생강 및 채소를 넣고 끓인 시남팔로캉 탕기기가 독특한 풍미를 냈다. 태국 해물탕에서 원용한 돔얌수프는 태국 것 보다 맑고 진하다. 해물탕에는 필리핀레몬 칼라만시가 들어가기 때문에 신맛이 난다. 알리망오 홍게요리와 게딱지 비빔밥은 세부여행때 반드시 먹고가야 후회가 없다. 오징어순대도 있다. 세부, 보홀의 3대 생산품은 쌀, 코코넛, 타로이다. 구황작물인 타로는 버블티에 타서 마시거나 국수로 만들어 전통소스와 비벼 따뜻하게 먹는다. 우리가 “비벼비벼(믹스믹스)”라고 하면 필리핀 친구들은 같은 뜻의 “할로할로”라고 화답한다. 팥빙수를 섞을 때에도 세부에선 할로할로라고 한다. 투론은 바나나 튀김을 말하는데, 주로 작은 품종의 바나나를 쓴다. 식당 마다 튀김옷의 두께와 튀김수준, 내용물 바나나의 농도가 저마다 다르다. 대체로 겉바속촉인데, 겉바속겔(gel)도 있으니 조심스럽게 흡입한다. 보라색 우베(별칭 Purple yam)는 넝쿨식물로 단맛이 강하다. 6~7월에 파종해 12~2월에 수확하는데, 중요한 특산물로서 우베크기경진대회를 포함하는 우베축제도 열린다. 지금까지 역대 최고무게 신기록은 4.4kg이다. 잼으로 가공하거나 아이스크림 등 디저트 핵심재료로 쓰이는데, 과거엔 쌀이 떨어졌을 때 쪄서 주식으로 먹었다고 한다. 우리로 치면 보릿고개를 넘던 피죽(벼와 자라며 잡초 취급 받던 식용 피를 끓여 춘궁기에 먹던 죽) 같은 음식이 우베인 셈이다. 이밖에 필리핀 음식으로는 ▷국수류를 통칭하는 빤싯, 그중에서도 계란섞은 빤싯 칸톤, 마닐라 북쪽 항구의 독특한 국수인 빤싯 말라본 ▷통돼지구이 레촌(Lechon) ▷야자잎에 싸서 파는 필리핀 찹쌀떡 수만(Suman) ▷필리핀형 딤섬 시오마이(siomai) ▷필리핀식 고깃죽 고또(Goto) ▷필리핀 빵 빤딧살(pandesal)이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031806?sid=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