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계좌개설 관련해서 글을 읽다보니 송재호님 글 중에서 조금은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글 올립니다.

송재호님 글: http://w9.philgo.com/?cate=post_in&action=view&id=info&idx=24598&page=&cafe_id=&category=

 

먼저 환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네이버에서 환율 검색하시면 (위에 그림을 보시면)

 

1. 매매 기준율 (기준환율)

2. 송금 보낼때, 받을때 (전신환 매매환율) - 전신환 매매율이라 하지만 이해 쉽게하기 위해서.....

3. 현금 살때, 팔때 환율 (현금 매매환율)

 

+ 기준환율

금융결제원 자금중개실을 통해 전 영업일 거래된 은행간 원/달러 현물거래 중 익일물의 거래환율을 거래량으로 가중평균해 결정되는 환율. 금융결제원은 원/달러 기준환율과 28개 재정환율을 매일 아침 고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장평균환율제도하에서 기준환율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외국환은행들이 대고객매매율을 결정할 때 준거환율의 역할을 한다. 즉 외국환은행들은 고객과의 거래에서 적용하는 각종 환율을 결정하고자 할 경우 중심환율로서 매매기준율이 있어야 하는데 통상 기준환율을 매매기준율로 정하고 있다. 둘째, 은행간 거래환율은 일중변동폭이 제한되고 있는데 이때 당일의 기준환율을 중심으로 상하 변동제한폭이 설정된다.

 

+ 전신환 매매율 - 실질적인 환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환어음의 결제를 전신으로 행하는 경우 적용되는 환율로 환어음의 송달이 1일 이내에 완료되므로 우송기간에 대한 금리의 요인이 개재되지 않는 순수한 의미의 환율이다. 예를 들면 전신송금의 경우 송금은행은 송금인으로부터 원화송금대금을 받고 외국환을 매도함과동시에 지급은행 앞으로 송금환의 지급지시를 전신으로 하게 되므로 외화송금대금이 송금은행의 해외예치계정에서 즉시 지급된다. 즉, 송금은행의 입장에서 볼때 송금환의 매도와 관련하여 하등의 자금부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송금은행이 송금인에게 외국환을 매도할 때 적용하는 환율은 금리요인이 개재되지 아니한 환율인 전신환매도율이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외국으로부터 전신으로 취결되어온 타발송금환을 지급하는 국내의 외국환은행은 타발전신송금환을 매입하고 원화를 지급하게 되는데 타발송금환을 매입하고 대금을 지급하는 시점에는 송금대금(외화)이 이미 지급은행의 해외예치계정에 입금되는 것이므로 타발전신송금환을 매입하는데 적용하는 환율은 역시 금리요인이 개재하지 아니한 전신환 매입율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전신환매매율은 다른 대고객매매율의 기준이 된다. 즉, 일람출급환매입율 및 기한부어음 매입율은 전신환매입율에서, 수입어음결제율은 전신환매도율에 각각 환어음의 자금화 또는 결제에 소요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금리만큼을 차감 또는 가산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엄격한 의미에서 환율이라 함은 전신환매매율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1. 전신환 매도환율(송금 받을때) - 전신환 매도율

2. 전신환 매입환율(송금 보낼때) - 전신환 매입율

 

+ 현금매매환율

1. 현금 매입환율(현찰 팔때)

2. 현금 매도환율(현찰 살때)

 

예를들어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기준환율: 1$=1,000원이고,

 

+ 은행기준- 현금매입환율:800 < 전신환 매도환율:900 < 기준환율:1,000 < 전신환매입환율: 1,100 < 현금매도환율:1,200

+ 고객기준- 현찰 팔때:800 < 송금 받을때: 900 < 매매기준율:1,000 < 송금 보낼때: 1,100 < 현찰 살때:1,200

이라고 가정을 하면,

 

1. 전신환 매매환율

현재 한국에서 미국으로 1000$ 보낸다고 생각하시면 매매 기준율상에서 1000$라는 돈은 100만원이 됩니다.

하지만 송금을 보내는 사람은 1000$를 보내기 위해 110만원을 보내야 합니다.

그런다고 송금을 받는 사람이 1,000$ 받는것은 아닙니다. 송금을 받는 사람은 단지 90만원을 받을 뿐입니다.

즉, 900$.......

송금을보내는 사람은 110만원을 보냈는데 받는 사람은 달랑 90만원을 받게 되는 시스템이

바로 기준환율(기준매매율)과 전신환 매매환율의 차이입니다.

 

그렇다면 20만원 어디로 갔는가? 은행이 수수료 명목으로 꿀꺽 한것입니다. ㅋㅋㅋ

 

만약, 기준매매율로 거래를 할 수 있다면 송금을 보내는 사람이 100만원 보내면 송금을 받는 사람은 1000$를 받을 수 있죵... 하지만 은행도 먹고 살아야하니 열라게 큰 수수료를 받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2. 현금 매매환율 - 요거는 직접 은행이나 공항에서 많이 해 보셨으니 쉽게 이해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1000$의 현찰을 사기위해서는 120만원을 지불해야하고, 현찰 1000$ 팔면 달랑 80만원을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이렇게 크게 차이는 나지가 않지만요.... ^^

은행들 가만히 앉아서 돈 벌어 먹는거 진짜 많아요. 이것 말구도...... 그래서 좀 까데고 싶어요..... ^^;;

 

이런 환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1. 글로벌 계좌이체는 한화를 달러 바뀌는 과정에서 송재호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를 보면

글로벌계좌이체의 적용환율(1240원) - 이하 소수점제외.

+ 한국 계좌에서 필리핀 현지계좌로 계좌이체시 800$=992,000원이라는 비용이 들었습니다.

 

+ 현찰을 살때 환율(1$=1219원) 800$= 975,200원 -> 800$의 현찰을 사기 위해서 975,200원이 있으면 가능합니다.

+ 매매기준환율(1$=1198원) 만약 매매기준환율이 적용이 되었다면 800$= 958,400원만 있으면 됩니다.

+ 현찰을 팔때 환율(1$=1177원) 800$= 941,600원 -> 만약 800$ 팔면 941,600원 밖에 받을 수가 없습니다.

 

즉, 현찰 800$를 사고팔구 환전 두 번 한 것으로 975,200원 - 941,600원 = 33,600원이라는 돈이 사라지는 것입니다.(수수료)

은행 돈벌기 참 쉽죠잉~~~~~~~~~~~~~~~~~~~~~~ 이게 중요한게 아니구요..... ^^;;

 

여기 저희가 알아봐야하는 것은 전신환 매매율이 어떻게 되는가? 입니다.

당시 전신환매매율: 1$=?(예상컨데 매매기준율보다는 비싸고 현찰을 살때보다는 쌀 것입니다.)

대충 중간값인 1$=1,209원 정도라고 가정하면, 800$=967,200원입니다. - 국제현금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만약 달러로만 돈을 찾으시는 것이라면 800$를 가지기 위한 비용은 송재호님께서 사용하시는 방법이 가장 비쌉니다.

 

일반적으로 한국 돈을 다른나라 돈으로 바꿀때,

 

싸다(환율이 낮다) -------->>> 비싸다(환율이 높다) 입니다.  그런데 님께서 사용하시는 적용환율은 더 높네요.

매매기준율    <    전신환 매매율    <    현찰 사실때      <      글로벌계좌이체 적용환율

 

그렇다면 이제부터가 진짜 문제입니다.

 

달러를 페소로 바꿀 때 시티은행의 각종 환율이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야 계산이 가능하다는 소리입니다.

당시 800$를 은행에서 페소로 바꾸었을때 얼마의 페소를 받았는지가 중요합니다.

또한 여기서 중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800$를 페소로 교한하기 위해서 비싼 현찰(페소) 살때 환율(1$=???페소)을 다시 한 번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국제 현금카드는 전신상으로 한화 ->달러->페소 이런 과정을 거쳐서 실제적으로 한화가 페소로 바뀌어 집니다.

이런 두 번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사용되는 기준이 되는 것이 전신환 매매율이라는 것입니다.

-> 정확한 시티뱅크의 전신환 매매율에 대한 데이터가 없으니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님께서 사용하시는 글로벌 계좌이체시 992,000원+4,000원(수수료)=996,000원 은 얼마의 페소인가요?

얼마가 되었는지는 저도 정확히 알수가 없으니..... 패쓰합니다.

 

가장좋은 방법은 같은날 동시에 같은 금액의 페소를 국제 현금카드와 글로벌계좌이체를 통해 찾아보시면

정확한 답이 나오리라 생각이 됩니다.

 

개인적인 예상으로

1. 국제현금카드 인출: 전신환 매매율 기준으로 두 번의 환전을 통해 한화에서 페소로 바뀌어 진다. + 매회 1$의 수수료

(이너미 1$도 은행은 앉아서 거저 먹는 돈이네요...... 이러보고 완전 도둑넘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지요???)

 

2. 글로벌 자금이체 서비스는 가장 높은(비싼) 환율을 통해서 환전을 하는 방법으로 생각됩니다. + 4,000원(수수료)

 

단지 눈에 보이는 4,000원이 수수료가 아니라 환전시 어떤 환율이 적용되는지 알아야

실질적인 수수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아실 수 있을 듯 싶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덧글 달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