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일은 작은 곳에서부터 시작된다

 

필작어세(必作於細) - <도덕경(道德經)>

 

 

  세상엔 어떤 일도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큰 병이 일어나려면 반드시 몸에 수많은 조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봐도 확실히 큰일은 조그만 일이 몇 번이고 일어나야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지난 금융위기 때도 몇 번의 조짐이 있었고, 전문가들의 경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일이 터지고 난 다음에 이유를 찾는 것에 익숙해져 있나 봅니다. 일이 벌어지기 전에 미리 아는 것, 이것을 사리(事理)를 안다고 합니다. <도덕경>에는 어떤 큰일은 반드시 조그만 것에서 시작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도덕경>63장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정확한 원문은 이렇습니다.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것에서 시작된다.’ 세상의 모든 큰일은 결국 사소한 것에서 시작된다는 이 철학은 <한비자>에도 비슷하게 등장합니다. ‘천 길 높은 둑은(天仗之堤) 개미나 땅강아지의 구멍으로 인해 무너지고(以蝭蟻之宂潰), 백 척 높이의 으리으리한 집은(百尺之室) 아궁이 틈에서 나온 조그만 불씨 때문에 타버린다(以突隙之烟焚).’ 천길 둑이 무너지고, 백 척 높이의 건물이 무너지는 것도 결국 사소한 것 때문에 일어난다는 이야기입니다.

 

天下難事, 必作於易,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  하  난  사,  필  작  어  이,  천  하  대  사,  필  작  어  세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것에서 시작된다.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것에서 터진다.

 

  세상을 지혜롭게 사는 사람들은 조그만 조짐에 주목하라고 합니다. 사람이 갑자기 쓰러지는 것은 조그만 것이 발단이 되기 때문이며, 사람의 성공이 한순간 무너지는 것도 조그만 발단에서 시작된다고 말입니다. 큰 것만 보려 하면 문제점을 정확히 찾을 수가 없습니다. 호랑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되 소걸음로 신중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조그만 것에 주목하려는 이유입니다. ‘세상의 모든 큰일은 반드시 조그만 것에서 시작된다.’ 어려운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입니다.

 

조그만 것을 놓치지 않아야 큰일이 안 생깁니다.

 

天   下   大   事   必   作   於   細

하늘     아래 하    큰     일 사    반드시 필    만들     어조사     가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