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그릇은 영원히 완성되지 않는다

 

대기만성(大器晩成) - <도덕경(道德經)>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 대기만성(大器晩成)이란 말이 있습니다. 글자 뜻대로 해석하면 ‘큰 그릇(大器)은 늦게(晩) 완성(成)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해석은 그리 정확한 해석은 아닌 듯합니다. 늦게 만들어져도 완성되는 순간 더 이상 가장 큰 그릇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동양에서는 ‘대(大)’라는 글자가 붙는 순간 더 이상 가장 큰 것이 아닙니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의 만(晩)은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면(免)이라고 쓰인 판본이 많습니다. 면세(免稅)나 면제(免除) 등에 쓰이는 면(免)은 부정의 뜻입니다. 이렇게 보면 ‘대기만성(大器晩成)’은 ‘큰 그릇은 완성이 없다(免)’는 뜻으로 해석해야 정확한 해석이 됩니다. 논리적으로 따져도 세상에서 제일 큰 그릇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그릇일겁니다. 이미 제일 큰 그릇이 완성되었다고 확정할 때 그 그릇 보다 더 큰 크기의 그릇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지금보다 더 큰 그릇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이야말로 가장 위대한 완성의 방식입니다.

  천국은 완성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과정입니다.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 어쩌면 천국보다 더 아름다운 곳일 수 있습니다. 위대한 회사(Great Company)보다 더 위대한 회사는 더 나은 회사(Better Company)입니다.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 오늘보다 더 나아지는 내일이 있는 회사는 지속성장이 가능한 회사입니다. 뛰어난 기술과 매출을 올리고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회사의 공통점은 최고라는 생각을 버리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아직 완성은 멀었다는 대기만성의 철학을 가진 사람이라면 언제나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할 것입니다.

 

大器晩成

대 기 만 성

 

큰 그릇은 완성이 없다.

 

  <도덕경>에서는 ‘대기만성’과 함께 위대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大音希聲). 가장 큰 형상은 형체가 없다(大象無形).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발상과 새로운 지식으로 무한의 모습을 만들어 가라! 완성된 모습, 정해진 소리, 보여지는 형체에 머물지 말라! 큰 그릇은 영원히 완성되지 않는다. 내가 날마다 새롭게 변해야 내 주변 사람들이 새롭게 변할 것이다!’ 이런 생각은 수천 년 동안 동양 역사를 통해서 흐르는, 날마다 혁신하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위대함(great)' 보다 더 위대한 것은 ’나음(better)'입니다.

 

大    器    晩    成

 큰      그릇 기     없을 만     이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