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에도 원칙이 있다

왕기미유능직인(枉己未有能直人) - <맹자(孟子)>

  조(趙)나라에 왕량(王良)이란 유능한 사냥꾼이 있었습니다. 왕이 총애를 받던 신하 폐해(嬖奚)는 왕에게 간청하여 왕량을 데리고 사냥을 나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하였습니다. 왕의 허락을 받고 왕량과 함께 사냥을 나간 폐해는 종일토록 한 마리의 사냥감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폐해는 돌아와 왕에게 말하기를 “왕량은 천하의 수준 낮은 사냥꾼입니다”라고 보고하였습니다.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왕량은 왕에게 나아가 폐해와 한 번 더 사냥을 나갈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아침나절이 채 지나기도 전에 10마리도 넘는 사냥감을 잡았습니다. 폐해는 임금에게 나아가 ‘천하 제일의 사냥전문가’라며 왕량을 칭찬하였습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전속 사냥꾼으로 지정하여 주기를 간청하였죠. 왕량은 그 자리에서 거절하며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저는 처음 저 폐해란 신하와 사냥을 나갔을 때 원칙대로 수레를 몰아 사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종일 한 마리도 잡지 못하더군요. 그 다음 사냥에서는 온갖 반칙으로 수레를 몰아주었는데 한나절에 10마리도 넘는 사냥감을 잡았습니다. 저 사람은 원칙대로 모시면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입니다. 오로지 반칙으로 모셔야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반칙으로 모셔야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주인으로 모시고 싶지 않습니다.” 맹자는 이런 우화를 예로 들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일개 사냥꾼도 반칙으로 일관하는 사람과 함께하기를 꺼리는데, 나의 원칙을 버리고 반칙을 강요하는 주군을 모실 수 없다. 나를 굽힌다 고해서 다른 사람을 곧게 만들 수는 없는 것이다.” 내가 잠깐 굽혀서 상대방을 올바르게 만든다고 해도 그것은 잠깐일 뿐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枉己未有能直人

왕 기 미 유 능 직 인

나를 굽혀 다른 사람을 곧게 만들 수는 없다.

  주군을 모시는 데도 원칙과 기본이 있습니다. 원칙으로 주군을 모시는 것은 진정 신하된 자의 도리입니다. 잠깐 나를 구부려 반칙으로 주군을 모신다고 주군이 올바르게 되지 않습니다. 오로지 명예만 추구하고, 벌칙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온갖 반칙을 일삼는 사람들이 귀 기울여야 할 대목입니다.

원칙을 버리고 굽히면 결국 영원히 굽힐 수밖에 없습니다.

枉   己   未   有   能   直   人

굽힐   몸 기   아닐 미   있을 유   능할 능   곧을 직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