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운행은 쉬지 않는다

자강불식(自强不息) - 『주역(周易)』

  자연의 운행은 춘하추동 쉬지 않고 계속됩니다. 추운 겨울이 계속된다 싶으면 어느덧 대지는 봄의 물결로 가득 차고, 뜨거운 여름이 극에 달하면 어느덧 가을의 서늘함이 식혀줍니다. ‘보라! 저 쉼 없이 돌아가는 자연의 운행을! 우리 인간은 자연의 순환을 본받아 한시도 쉬지 않고 배워야 한다!’ 『주역』에 나오는 자강불식의 의미입니다. 자강불식(自强不息), 하늘의 운행은 스스로(自) 강(强)해지기 위해서 쉬지(息) 않고(不) 운행한다는 뜻입니다. 군자는 그 하늘의 대한 역동성을 배워서 스스로 강해지기를 쉬지 않고 계속해야 합니다. 이것이 자연을 닮고 본받는 군자의 모습입니다. 『주역』건괘의 이 문장은 동양 역사에서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스스로를 강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화두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중국의 변혁기에 강해져야 한다는 외침 속에 빠지지 않고 나왔던 구호였습니다. 『중용』이란 고전에는 성실이란 원리로 이 자강불식의 이야기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지성무식(至誠無息)! 지극한 성실함은 쉬지 않는 것’입니다. 가장 위대한 성실함은 무식(無息), 쉼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정도면 됐겠지! 하는 안주에서 벗어나 쉽지 않고 나를 변혁하고 강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호흡을 쉬지 않고 계속하기에 생명을 이어갈 수 있는 것처럼 어제와 다른 나를 만들고, 오늘과 다른 내일을 만드는 것이 자강불식하는 역동적 삶의 자세입니다. 처음에 잘하는 사람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묵묵히 쉬지 않고 가는 사람이 결승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승리는 쉬지 않는 사람에게 늘 그 자리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

천 행 건, 군 자 이 자 강 불 식

 

하늘은 씩씩하게 운행한다.

군자는 그 운행을 본받아 스스로를 강하게 하는 데 쉼이 없어야 한다.

 

  오늘도 무식(無息)하며 바쁜 일과를 시작하고 있는 분들은 정말 이 나라에 필요한 분들입니다. 기업과 공장에 자강불식의 불이 밝혀 있다면 우리 한국경제의 미래는 더욱 씩씩하고 밝을 것입니다. 강해져야 합니다. 거친 호흡을 멈추지 말고 쉼 없는 자강불식의 자세로 우리의 아름다운 미래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쉬지 않고 달리는 것이 경쟁력입니다.

自   强   不   息

스스로 자   강할    아니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