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생각해보는 필리핀사람들의 불편한 진실(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우리헬퍼 4000페소 가불합니다.
오늘 엄마가 많이 아파서 병원비 보내야 한답니다.
저 얼마 필요한지 물어본니다.
헬퍼 4000페소 가불해 달랍니다.(우리헬퍼 한달 식비 포함해서 4500페소가 급여입니다)
가불 해 주었습니다.
그중 500페소만 엄마에게 보내주고
3500페소는 본인이 필요한곳에 쓰더군요.
저 헬퍼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왜 엄마 아프다고 거짓말 해서 가불 해 갔냐고 말입니다.
헬퍼 대답합니다.
엄마가 아픈것은 사실이기때문에 본인이 거짓말 한거 아니랍니다.
돈 보내준 영수증 500페소 보여주면서
자 봐라 여기 엄마에게 보내준 돈 500페소짜리 영수증 있지 않느냐...하면서 말이지요.
여기서 한가지
우리와 다른 상식적인 이해의 방법이 오해를 불러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우리 상식으로는 필요한 돈 만큼 빌려서 그 빌린 용도 만큼 쓰는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필리핀 사람들의 사고 방식은
내가 필요한 용도를 말하고 돈을 빌렸을지라도 그 현금이 내 손에 들어와있는경우
그 용처는 내 마음대로 입니다.
만약 상대가 가지고 있는 돈이 내가 빌려준 돈이고 그 돈의 용처가 약값이라고 가정한다면
우리 상식은 그 돈 전부가 약을 쓰여져야 하는것이 맞습니다.
그 상대방이 그돈을 가지고 약을 사는데 다 사용하였다면
돈을 빌려준 입장에서는 흐뭇해 할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그 상대방이 약값도 쓰고 밥먹느데도 쓰고 했다면
우리들은 바로 말 나옵니다...
"아니 약값없어서 빌려간놈이 그걸 밥값으로 써버려...
이 나쁜놈..., 거짓말 쟁이, 사기꾼.."
대번에 이렇게 바뀌겠지요.
그렇지만 필리핀사람들의 사고 방식은 다릅니다.
내가 상대방에게 돈이 필요한 용처를 말했고
상대방이 내 이야기를 듣고 돈을 나에게 빌려 주었다면
돈을 빌린이후 그 돈의 사용방법을 결정 하는것은 완전한 자기 의사라 생각합니다.
절대로 그 돈을 빌려준 사람의 의도와 생각대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돈의 용처를 정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정서적으로 우리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이 정서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비단 이나라 필리핀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닙니다.
이러한 사고 방식은 이곳 필리핀의 문제만이 아니라 서구 문화권에 놓여있는 유럽및 미주국가들의
공통적인 문화 관습입니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