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뗑깡'부리고 있습니까?
한자어에 치이고, 외래어 또는 국적 불명의 언어에 눌려 국어사전 속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순수 우리 토박이말이 많습니다. 심지어 우리 토박이말임에도 일본어 찌꺼기 취급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에누리’가 그렇습니다.
‘에누리’는 일상적으로 ‘값을 깎는 일’을 의미합니다. 물건을 사는 사람 쪽에서 주로 쓰는 말입니다. “이 세상에 에누리 없는 장사가 어디 있어?” 이 말은 물건 값을 깎아 달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에누리’의 본래 의미는 ‘물건 값을 받을 값보다 더 많이 부르는 일’입니다. 물건을 파는 사람이 원가에 자신의 이문을 붙여 파는 상황에서 쓰던 말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 에누리 없는 장사가 어디 있어?” 이 말은 장사하는 사람이 손해 보면서 물건을 팔 수 없다는 뜻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값을 깎는 일’이란 의미는 나중에 덧붙여졌습니다. 즉, ‘에누리’의 의미가 확장된 것입니다.
‘에누리’는 이처럼 사는 사람이 말하느냐, 또는 파는 사람이 말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국어사전에도 ‘값을 더 얹어서 부르는 일’과 ‘값을 깎는 일’이란 상반된 의미가 모두 올라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에누리’란 말을 쓴다 하더라도, 본래 의미로 쓰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실생활에서는 주로 ‘값을 깎는 일’이란 뜻으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에누리’가 ‘값을 깎는 일’이란 의미로 생활 속에서 활발히 쓰이는가? 아닙니다. 한자어인 ‘할인’, 외래어인 ‘세일’ ‘디스카운트(DC)’에 밀려났기 때문입니다. 안타깝게도 순 우리말인 ‘에누리’가 한자어와 외래어에 밀려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에누리’를 일본어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유도리’, ‘단도리’, ‘다대기’는 일본어이지만, 분명 ‘에누리’는 순수한 우리 토박이말(고유어)입니다.
참고로 다음은 제가 대충 떠올린,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와 이에 대응하는 우리말을 정리해 본 것입니다.
1. 사시미 / 생선회
2. 스시 / 초밥
3. 와사비 / 고추냉이
4. 아나고 / 붕장어
5. 세꼬시 / 뼈째썰기
6. 마구로 / 참치
7. 에에또(할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쓰는 감탄사) / 저어, 거시기(표준어입니다)
8. 곤조 / 근성, 성깔
9. 단도리 / 준비, 채비, 마무리
10. 자부동 / 방석
11. 무데뽀 / 무작정, 무모함, 분별 없음, 경솔함, 맹목적
12. 찌께다시 / 기본 안주
13. 요지 / 이쑤시개
14. 엑기스 / 농축액
15. 유도리 / 융통성, 여유
16. 쿠사리 / 야단, 꾸중, 핀잔, 면박
17. 나가리 / 유찰
18. 다대기 / 다진 양념
19. 다꽝 / 단무지
20. 요지 / 이쑤시개
21. 오뎅 / 어묵꼬치
22. 와리바시 / 나무젓가락
23. 쓰메기리 / 손톱깎이
24. 다라이 / 대야
25. 만땅 , 입빠이 / 가득
26. 시다바리 / 보조원
27. 야미 / 뒷거래
28. 찌라시 / 광고 전단지
29. 노가다 / 노동
30. 고수부지 / 둔치
31. 시건장치 / 잠근장치
32. 시말서 / 경위서
33. 연돌(煙突) / 굴뚝
34. 야채 / 채소
35. 뗑깡부리다 / 생떼 쓰다, 억지부리다
36. 엔코 / 바닥나다
37. 기스 / 상처, 흠, 흠집
38. 사라 / 접시 * 회 한 사라 -- 회 한 접시 ** ‘사리’는 순수 우리말입니다
39. 앗사리 / 시원스럽게, 분명히, 솔직히
40. 나라비서다 / 줄지어서다
41. 기라성(綺羅星) / 쟁쟁하다 *기라성 같은 존재 -- 쟁쟁한 존재
42. 민초(民草) / 백성, 국민, 민중 * ‘민초’는 순 일본어
43. 단초(端初) / 실마리, 단서(端緖) * ‘단초’ 역시 순 일본어
원래 제목은 ‘우리말 얼마나 사랑하십니까?’로 정했는데, 필고에서 자신의 주장만이 지고지순한 선이고 그 주장과 다른 의견에 대해서는 입에 거품을 무는 어물전의 고기 때문에 써서는 안 될 ‘뗑깡’을 감히 의도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미안합니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