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교육정책.
EBS-성적표는 있다....
하지만 등수는 없다.
국가 청렴도 1위, 경쟁력 1위 핀란드.
http://www.youtube.com/watch?v=H4bI8wJjl64&feature=related
http://www.youtube.com/watch?v=ic5KhCE3mVs
=꼭 보아야 할 4분 영상.
'OECD'주관
국제 학업 성취도 연속 1위 핀란드, 2위 대한민국
'학교는 좋은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교양을 쌓는 과정이다.
경쟁은 좋은 시민이 된 다음의 일이다.'
PISA 에서 핀란드가 1위 한국이 2위로 발표되자 한국 교육관계자가 웃으면서 핀란드
교육 관계자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허허' 근소한 차이로 저희가 졌습니다.
그러나 그가 들은 대답은 결코 웃어 넘길수 없는 대답이였다.
핀란드 교육관계자가 답하길...
'저희가 큰 차이로 앞섰습니다.'
'핀란드 학생들은 웃으면서 공부하지만 그쪽 학생들은 울면서 공부하지 않습니까.'
마음속에 깊이 파고드는 말입니다.
서로 이길려는 경쟁이 최선이 아니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베짱이 또한 잘못된 것이니
어릴때 만큼은 밀림의 동물과 다른 인간으로써의 감성과 상식을 익히고
어른이 되었을때 경쟁을 통한 발전이 올바른 답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60년전 시각으로 지금의 시대가 밥은 먹고 살지만 인격적으로 정상인건지,,,,,
요즘 워낙 자살, 살인, 사건이 많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이 인간의 삶인지
동물의 삶인지 의구심이 들어 또 한자 적어 봅니다.
-이념 문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의 구성원을 만들기 위한 교육이
이념문제로 비화되어 한국 사회에서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문제는 이념이 아닌 지도층의 청렴 문제.
깨끗한 지도층 만이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