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글날 입니다...한글날의 유래
한글날의 유래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는 날, 우리 글자 한글을 기리기 위하여 법으로 정한 날이다.
한글날을 제정한 때는,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있던 1926년이다.
조선어 연구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1926년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 처음으로 '가갸날'이라 이름해서 기념하기 시작했다.
한글날을 10월 9일로 정한 것은 한글이 반포된 날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글은 조선 세종 28년 '음력 9월 상한'에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공표되었다. 기록에 따라 9월 상순의 끝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서기 1446년 10월 9일'을 기리게 되었다.
- 1926년 음력 9월 29일(11월 4일) '가갸날' 선포(한글 반포 8회갑=480돌).
- 1928년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고침.
- 1931년 음력으로 기념해 오던 '한글날'을 양력 10월 29일로 정하여 기념함.
- 1934년 음·양력의 환산 방법을 그레고리오력으로 고쳐 10월 28일로 정하여 기념함.
- 1940년 "훈민정음" 원본의 발견으로 정통 11년 9월 상한이란 한글 반포의 날이 대강 밝혀졌으나
- 나라 안팎의 사정으로 기념식을 갖지 못함.
- 1945년 훈민정음 원본에 따라 1446년 10월 9일이 한글 반포의 날임을 확정함.
- 1946년 한글 반포 500돌을 맞이하여 '한글날'을 공휴일로 정함.
- 1981년 '한글날' 기념식이 정부(서울시) 주관으로 바뀜(535돌).
- 1982년 '한글날' 기념식을 서울시에서 문화공보부 주관으로 함.
- 1990년 '한글날'을 공휴일에서 제외함.
1.
강산도 빼어났다 배달의 나라
긴 역사 오랜 전통 지녀온 겨레
거룩한 세종대왕 한글 펴시니
새 세상 밝혀주는 해가 돋았네
한글은 우리 자랑 문화의 터전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2.
볼수록 아름다운 스물 넉자는
그 속에 모든 이치 갖추어 있고
누구나 쉬 배우며 쓰기 편하니
세계의 글자 중에 으뜸이도다
한글은 우리 자랑 민주의 근본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3.
한겨레 한맘으로 한데 뭉치어
힘차게 일어나는 건설의 일꾼
바른 길 환한 길로 달려나가자
희망이 앞에 있다 한글 나라에
한글은 우리 자랑 생활의 무기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