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존 바른교육 여름방학 캠프 3주 프로그램 강남교육청 과외등록 989호
21일 여름방학 캠프
수준에 맞춰 각 학생의 시간표가 정해집니다.
초등학생
영어 기초문법
튜터와 영어 교과서 내용 숙지
튜터와 영어 문장 읽기
튜터와 생활영어 회화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수영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중학생
영어 기초문법 및 교과 과정 문법 숙지
튜터와 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튜터와 교과서 dialogue 연습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어린 학생은 영어가 절박하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좀 더 커서 필요에 의해 공부 할 때까지는 주위에서 접하는(교과서) 영어라도 확실하게 익히는 것이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됩니다. 중학생은 학교 성적이 우선입니다. 교과서의 문법, 단어, 독해, dialogue 등을 접하여서 고등학교까지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우선입니다.
수학은 혼자 공부할 수 있는 법을 가르칩니다. 수학은 논술의 기초입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자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조리 있고 간결하게 설명하는 연습을 하는 학문입니다.
강남교육청 과외 신고 필증 #989(연세대)
070-7425-0890
아래 교수의 의견을 참고하세요.
밀리언셀러『일본인의 영어』저자, 마크 피터센 메이지대 교수
-바람직한 영어 학습법은.
“영어권에서 공부하는 게 효과가 가장 크지만 비용 문제가 있다. 직장인들은 시간문제도 있다. 그런 경우 최대한 읽기를 많이 해야 한다. 영어 회화 학원에 다니고, 듣기를 콤팩트디스크(CD)로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조금씩, 적어도 30분 이상 매일 영어를 공부하는 것이다. 단어를 늘리는 데는 읽기가 최고의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 NHK가 제공하는 라디오 영어 강좌가 효과가 있다. 시각적인 내용이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TV 영어 강좌보다는 라디오 강좌가 더 낫다고 본다.”
-읽기를 강조한 것은 약간 의외다.
“어휘력 증진을 위해서는 읽기가 필수다. 짧은 회화 연습으로는 아는 단어 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언어 학습은 피아노·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프로들도 매일 연습해야 기량을 유지하고 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어학은 개인 활동이다. 꾸준히 반복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언어는 대규모 그룹에 학생들을 몰아 놓는다고 해서 쉽게 배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글쓰기보다는 말하기에 대한 관심이 더 크다.
“오히려 영어 회화는 큰 근심거리가 아니라고 본다. 대화에서는 서로 이해할 때까지 말을 주고받을 수 있다. 글쓰기에서는 그게 쉽지 않다. 물론 영어의 소리를 배우고 말하기를 연습하는 것도 중요하다. 말하기도 매일 연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가능하면 원어민과 연습하는 게 좋다.”
교과 내용의 기본적 문법 강의(한국어) 1시간 + 한국어로 배운 문법을 튜터가 영어로
-한국에서는‘문법은 잊어라’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렇지 않다. 문법은 특히 읽기와 쓰기에 중요하다. 많은 비즈니스 의사소통이 e-mail로 이뤄진다. 상대편이 ‘이해할 수 있는(understandable)’ 영어로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문법이 필수다. 일본의 경우 20~30년 전에는 문법 수준이 지금보다 높아 읽기·쓰기 능력이 더 나았다. 지금은 발음과 듣기가 좀 나아졌지만 읽기·쓰기는 예전만 못하다. 상당수 일본인이 문법을 ‘복종해야 할’ 어떤 ‘규칙’으로 이해한다. 문법은 문장의 의미를 결정한다. 문법에 대해 더 잘 아는 게 필요한 이유는 많은 경우 기초 문법에 대한 무지가 잘못된 의사소통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일본인들에게 가장 흔한 문법 오류는.
“영어와 일본어 사이의 언어 구조 차이 때문에 단수·복수, 시제, 관사의 실수가 잦다. 시제의 경우 현재와 과거는 비교적 쉽게 배운다. 영어는 시제가 12개나 돼 일본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If I were you(내가 너라면)’와 같이 사실이 아닌 상황에 대한 가정법에서도 실수가 잦다. 학생들이 in, for, by 같은 전치사 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영어 읽기 훈련을 충분히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법 오류를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비용이나 시간문제가 있지만 뭔가를 영어로 써서 원어민에게 틀린 것을 지적받고 왜 틀렸는지 설명을 듣는 게 최고다. 오류를 따지는 과정에서 영어 문법에 대한 감을 훨씬 빨리 습득하게 된다.”
-문법을 모르면 어떤 손해를 보게 되는지 구체적인 예가 있다면.
“학술 분야의 영어 글쓰기에서 문제가 있다. 많은 일본 과학자·연구자가 높은 수준의 연구결과를 내고도 논문을 국제 저널에 싣지 못한다. 문법상의 오류 때문에 게재 여부를 심사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제출하는 논문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과학 논문의 영어 오류를 바로잡는 일을 도울 때가 있다. 좋은 연구가 해외 저널에 실려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때 보람을 느낀다.”
21일 여름방학 캠프
수준에 맞춰 각 학생의 시간표가 정해집니다.
초등학생
영어 기초문법
튜터와 영어 교과서 내용 숙지
튜터와 영어 문장 읽기
튜터와 생활영어 회화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수영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중학생
영어 기초문법 및 교과 과정 문법 숙지
튜터와 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튜터와 교과서 dialogue 연습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어린 학생은 영어가 절박하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좀 더 커서 필요에 의해 공부 할 때까지는 주위에서 접하는(교과서) 영어라도 확실하게 익히는 것이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됩니다. 중학생은 학교 성적이 우선입니다. 교과서의 문법, 단어, 독해, dialogue 등을 접하여서 고등학교까지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우선입니다.
수학은 혼자 공부할 수 있는 법을 가르칩니다. 수학은 논술의 기초입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자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조리 있고 간결하게 설명하는 연습을 하는 학문입니다.
강남교육청 과외 신고 필증 #989(연세대)
070-7425-0890
아래 교수의 의견을 참고하세요.
밀리언셀러『일본인의 영어』저자, 마크 피터센 메이지대 교수
-바람직한 영어 학습법은.
“영어권에서 공부하는 게 효과가 가장 크지만 비용 문제가 있다. 직장인들은 시간문제도 있다. 그런 경우 최대한 읽기를 많이 해야 한다. 영어 회화 학원에 다니고, 듣기를 콤팩트디스크(CD)로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조금씩, 적어도 30분 이상 매일 영어를 공부하는 것이다. 단어를 늘리는 데는 읽기가 최고의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 NHK가 제공하는 라디오 영어 강좌가 효과가 있다. 시각적인 내용이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TV 영어 강좌보다는 라디오 강좌가 더 낫다고 본다.”
-읽기를 강조한 것은 약간 의외다.
“어휘력 증진을 위해서는 읽기가 필수다. 짧은 회화 연습으로는 아는 단어 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언어 학습은 피아노·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프로들도 매일 연습해야 기량을 유지하고 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어학은 개인 활동이다. 꾸준히 반복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언어는 대규모 그룹에 학생들을 몰아 놓는다고 해서 쉽게 배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글쓰기보다는 말하기에 대한 관심이 더 크다.
“오히려 영어 회화는 큰 근심거리가 아니라고 본다. 대화에서는 서로 이해할 때까지 말을 주고받을 수 있다. 글쓰기에서는 그게 쉽지 않다. 물론 영어의 소리를 배우고 말하기를 연습하는 것도 중요하다. 말하기도 매일 연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가능하면 원어민과 연습하는 게 좋다.”
교과 내용의 기본적 문법 강의(한국어) 1시간 + 한국어로 배운 문법을 튜터가 영어로
-한국에서는‘문법은 잊어라’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렇지 않다. 문법은 특히 읽기와 쓰기에 중요하다. 많은 비즈니스 의사소통이 e-mail로 이뤄진다. 상대편이 ‘이해할 수 있는(understandable)’ 영어로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문법이 필수다. 일본의 경우 20~30년 전에는 문법 수준이 지금보다 높아 읽기·쓰기 능력이 더 나았다. 지금은 발음과 듣기가 좀 나아졌지만 읽기·쓰기는 예전만 못하다. 상당수 일본인이 문법을 ‘복종해야 할’ 어떤 ‘규칙’으로 이해한다. 문법은 문장의 의미를 결정한다. 문법에 대해 더 잘 아는 게 필요한 이유는 많은 경우 기초 문법에 대한 무지가 잘못된 의사소통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일본인들에게 가장 흔한 문법 오류는.
“영어와 일본어 사이의 언어 구조 차이 때문에 단수·복수, 시제, 관사의 실수가 잦다. 시제의 경우 현재와 과거는 비교적 쉽게 배운다. 영어는 시제가 12개나 돼 일본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If I were you(내가 너라면)’와 같이 사실이 아닌 상황에 대한 가정법에서도 실수가 잦다. 학생들이 in, for, by 같은 전치사 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영어 읽기 훈련을 충분히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법 오류를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비용이나 시간문제가 있지만 뭔가를 영어로 써서 원어민에게 틀린 것을 지적받고 왜 틀렸는지 설명을 듣는 게 최고다. 오류를 따지는 과정에서 영어 문법에 대한 감을 훨씬 빨리 습득하게 된다.”
-문법을 모르면 어떤 손해를 보게 되는지 구체적인 예가 있다면.
“학술 분야의 영어 글쓰기에서 문제가 있다. 많은 일본 과학자·연구자가 높은 수준의 연구결과를 내고도 논문을 국제 저널에 싣지 못한다. 문법상의 오류 때문에 게재 여부를 심사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제출하는 논문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과학 논문의 영어 오류를 바로잡는 일을 도울 때가 있다. 좋은 연구가 해외 저널에 실려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때 보람을 느낀다.”
21일 여름방학 캠프
수준에 맞춰 각 학생의 시간표가 정해집니다.
초등학생
영어 기초문법
튜터와 영어 교과서 내용 숙지
튜터와 영어 문장 읽기
튜터와 생활영어 회화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수영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중학생
영어 기초문법 및 교과 과정 문법 숙지
튜터와 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튜터와 배운 단어 숙지
튜터와 교과서 dialogue 연습
수학 2학기 선행 또는 기초 확립
어린 학생은 영어가 절박하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좀 더 커서 필요에 의해 공부 할 때까지는 주위에서 접하는(교과서) 영어라도 확실하게 익히는 것이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됩니다. 중학생은 학교 성적이 우선입니다. 교과서의 문법, 단어, 독해, dialogue 등을 접하여서 고등학교까지의 영어수업에 적응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우선입니다.
수학은 혼자 공부할 수 있는 법을 가르칩니다. 수학은 논술의 기초입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자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조리 있고 간결하게 설명하는 연습을 하는 학문입니다.
강남교육청 과외 신고 필증 #989(연세대)
070-7425-0890
아래 교수의 의견을 참고하세요.
밀리언셀러『일본인의 영어』저자, 마크 피터센 메이지대 교수
-바람직한 영어 학습법은.
“영어권에서 공부하는 게 효과가 가장 크지만 비용 문제가 있다. 직장인들은 시간문제도 있다. 그런 경우 최대한 읽기를 많이 해야 한다. 영어 회화 학원에 다니고, 듣기를 콤팩트디스크(CD)로 공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조금씩, 적어도 30분 이상 매일 영어를 공부하는 것이다. 단어를 늘리는 데는 읽기가 최고의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 NHK가 제공하는 라디오 영어 강좌가 효과가 있다. 시각적인 내용이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TV 영어 강좌보다는 라디오 강좌가 더 낫다고 본다.”
-읽기를 강조한 것은 약간 의외다.
“어휘력 증진을 위해서는 읽기가 필수다. 짧은 회화 연습으로는 아는 단어 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언어 학습은 피아노·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배우는 것과 비슷하다. 프로들도 매일 연습해야 기량을 유지하고 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어학은 개인 활동이다. 꾸준히 반복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언어는 대규모 그룹에 학생들을 몰아 놓는다고 해서 쉽게 배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글쓰기보다는 말하기에 대한 관심이 더 크다.
“오히려 영어 회화는 큰 근심거리가 아니라고 본다. 대화에서는 서로 이해할 때까지 말을 주고받을 수 있다. 글쓰기에서는 그게 쉽지 않다. 물론 영어의 소리를 배우고 말하기를 연습하는 것도 중요하다. 말하기도 매일 연습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가능하면 원어민과 연습하는 게 좋다.”
교과 내용의 기본적 문법 강의(한국어) 1시간 + 한국어로 배운 문법을 튜터가 영어로
-한국에서는‘문법은 잊어라’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렇지 않다. 문법은 특히 읽기와 쓰기에 중요하다. 많은 비즈니스 의사소통이 e-mail로 이뤄진다. 상대편이 ‘이해할 수 있는(understandable)’ 영어로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문법이 필수다. 일본의 경우 20~30년 전에는 문법 수준이 지금보다 높아 읽기·쓰기 능력이 더 나았다. 지금은 발음과 듣기가 좀 나아졌지만 읽기·쓰기는 예전만 못하다. 상당수 일본인이 문법을 ‘복종해야 할’ 어떤 ‘규칙’으로 이해한다. 문법은 문장의 의미를 결정한다. 문법에 대해 더 잘 아는 게 필요한 이유는 많은 경우 기초 문법에 대한 무지가 잘못된 의사소통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일본인들에게 가장 흔한 문법 오류는.
“영어와 일본어 사이의 언어 구조 차이 때문에 단수·복수, 시제, 관사의 실수가 잦다. 시제의 경우 현재와 과거는 비교적 쉽게 배운다. 영어는 시제가 12개나 돼 일본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If I were you(내가 너라면)’와 같이 사실이 아닌 상황에 대한 가정법에서도 실수가 잦다. 학생들이 in, for, by 같은 전치사 활용이 어려운 이유는 영어 읽기 훈련을 충분히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법 오류를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비용이나 시간문제가 있지만 뭔가를 영어로 써서 원어민에게 틀린 것을 지적받고 왜 틀렸는지 설명을 듣는 게 최고다. 오류를 따지는 과정에서 영어 문법에 대한 감을 훨씬 빨리 습득하게 된다.”
-문법을 모르면 어떤 손해를 보게 되는지 구체적인 예가 있다면.
“학술 분야의 영어 글쓰기에서 문제가 있다. 많은 일본 과학자·연구자가 높은 수준의 연구결과를 내고도 논문을 국제 저널에 싣지 못한다. 문법상의 오류 때문에 게재 여부를 심사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제출하는 논문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과학 논문의 영어 오류를 바로잡는 일을 도울 때가 있다. 좋은 연구가 해외 저널에 실려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때 보람을 느낀다.”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