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서 '뇌 먹는 아메바' 또 검출
미국 루이지애나 수돗물서 '뇌 먹는 아메바' 또 검출…한국에선?
최영경 기자
입력 2014-08-29 14:14
![미국 루이지애나 수돗물서 '뇌 먹는 아메바' 또 검출…한국에선? 기사의 사진](http://image.kmib.co.kr/online_image/2014/0829/201408291414_61130008632580_1.jpg)
MBC 방송화면 캡처.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에서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아메바가 또 검출됐다. 감염될 경우 치사율이 95%에 달해 보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루이지애나주 세인트존 뱁티스트 패리시 당국은 최근 상수도에서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기생충을 발견하고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USA투데이가 보도했다.
보건 당국은 해당 지역의 수돗물에 긴급 염소 처리 명령을 내렸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는 뇌 조직을 파괴하고 뇌수막염을 일으키며 대개 12일 이내 사망에 이른다. 치사율은 95%다.
지난해 9월 뉴올리언스 남동쪽 세인트버나드 패리시에서는 미국 최초로 상수도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발견됐다.
이어 물 미끄럼틀을 타던 4살 소년과 또 다른 12살 소년이 감염돼 목숨을 잃었다. 올 7월에도 수상스키를 탄 9세 소녀가 감염돼 숨졌다.
최근 10년간 한국에서는 감염 보고 사례가 없다.
최영경 기자 [email protected]
루이지애나주 세인트존 뱁티스트 패리시 당국은 최근 상수도에서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기생충을 발견하고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USA투데이가 보도했다.
보건 당국은 해당 지역의 수돗물에 긴급 염소 처리 명령을 내렸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는 뇌 조직을 파괴하고 뇌수막염을 일으키며 대개 12일 이내 사망에 이른다. 치사율은 95%다.
지난해 9월 뉴올리언스 남동쪽 세인트버나드 패리시에서는 미국 최초로 상수도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발견됐다.
이어 물 미끄럼틀을 타던 4살 소년과 또 다른 12살 소년이 감염돼 목숨을 잃었다. 올 7월에도 수상스키를 탄 9세 소녀가 감염돼 숨졌다.
최근 10년간 한국에서는 감염 보고 사례가 없다.
최영경 기자 [email protected]
AI answer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Aliquid pariatur, ipsum similique veniam.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Quisquam, quod. and the drug lord.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