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간 시장 지낸 남부 다바오市
무장세력 소탕에 보복테러인 듯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의 고향이자 정치적 근거지인 남부 다바오시(市)에서 지난 2일(현지 시각)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이튿날 테러 현장을 찾아 "필리핀에서 '무법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공권력을 동원해 반드시 응징하겠다"고 밝혔다.

필리핀의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지난 3일 남부 도시 다바오 야시장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필리핀의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지난 3일 남부 도시 다바오 야시장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2일 다바오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가 관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테러가 발생해 14명이 죽고 70여 명이 부상당했다. /AFP 연합뉴스
필리핀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2일 오후 10시 30분쯤 다바오시 야시장에서 폭탄이 터져 14명이 숨지고 70여 명이 다쳤다. 현지 경찰은 사건 현장에서 포탄을 개조해 만든 사제 폭탄의 파편을 발견했다. 로널드 델라로사 경찰청장은 3일 "이번 테러는 극단주의 무장 단체 '이슬람국가(IS)'를 추종하는 남부 무장 세력 '아부사야프'의 소행으로 추정된다"며 "남성 2명과 여성 1명 등 용의자 3명의 행방을 쫓고 있다"고 밝혔다.

테러가 벌어진 야시장은 두테르테 대통령이 자주 묵는 '마르코 폴로'호텔 근처다. 지난 6월 말 취임한 두테르테 대통령은 주말마다 다바오시를 찾아 '민생 탐방'을 해왔다. 그는 사건 당일에도 다바오시 관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아들인 파올로 두테르테 다바오 부시장은 로이터통신에 "폭발 당시 아버지는 (다바오 시내) 다른 장소에 체류 중이었다"며 "현재 현지의 한 경찰서에 머무르고 있다"고 말했다.

다바오시는 두테르테가 대통령 당선 전까지 22년간 시장으로 있었던 곳이다. 무장 세력 아부사야프의 활동 지역이지만, '두테르테 효과'로 그동안 '필리핀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꼽혀 왔다. 경찰은 두테르테 대통령이 최근 아부사야프 소탕 작전을 벌여 30여 명을 사살하자 아부사야프가 보복 테러에 나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부사야프 대변인 아부 라미는 테러 직후 현지 언론에 "우리 소행이다. 이번 공격이 필리핀에 있는 이슬람 전사들의 단결을 요구하고 있다"며 추가 공격을 예고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사건을 수습하기 위해 3일부터 사흘간 예정됐던 브루나이 순방을 취소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필리핀 폭탄테러 두테르테 고향방문 노린듯

 

당국, IS추종 무장세력 소행 추정  
다바오 야시장서 터져 80여명 사상… 임신부 희생 등 ‘소프트타깃 테러’ 
필리핀 경찰, 용의자 3명 추적중  
두테르테, 첫 해외순방 일정 취소 “무법 상황 응징… 테러와의 전쟁”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71)의 고향이자 그가 20년 넘게 시장을 지낸 ‘정치적 심장부’ 다바오 시에서 폭탄테러가 일어나 8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6월 말 취임 후 마약 및 경제 범죄는 물론이고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에 대해 전쟁을 선포한 두테르테 대통령이 보복 역풍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CNN에 따르면 2일 오후 10시경 필리핀 남부 다바오 시에 있는 한 야(夜)시장에서 폭탄이 터져 최소 14명이 숨지고 70여 명이 다쳤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타깃’ 테러였다.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이 영문도 모르고 희생됐다. 임신 7개월인 여성, 12세 소년도 숨졌다. 필리핀 경찰은 테러 용의자 3명을 추적 중이다.

다바오 시민들은 큰 충격에 빠졌다. 수도 마닐라에서 남쪽으로 980km 떨어진 다바오 시는 두테르테 대통령이 취임 전 22년간 시장으로서 치안 기반을 다져 놓은 곳으로 필리핀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꼽힌다.  

테러의 목표는 두테르테 대통령 암살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은 주말마다 다바오 시를 찾았고 테러가 일어난 날에도 이 시에 있었다. 테러범들은 대통령을 직접 공격하진 못했지만 그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데는 성공했다. 분노한 두테르테 대통령은 3일 테러 현장에서 “필리핀에서 ‘무법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추악한 고개를 드는 테러범과 맞서야 한다”며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취임 후 첫 해외 방문 일정인 브루나이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 

필리핀 당국은 IS를 추종하는 필리핀 남부 무장세력 ‘아부사야프’를 배후로 보고 있다. 아부사야프는 필리핀 남부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분리주의 세력 가운데 급진적 성향의 분파다. 아부사야프는 테러 직후 현지 라디오방송 DZMM에 테러를 저질렀다고 밝혔지만 그 후 다른 인터뷰에서는 혐의를 부인했다. 

하지만 최근 두테르테 정권이 IS에 대한 전의를 불태우고 있어 이들의 소행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최근 아부사야프 공격을 위한 군사작전을 진행해 아부사야프가 반격을 경고했다. 또 최근 “IS가 테러를 저지른다면 난 IS가 저지른 것을 10배로 되갚아 주겠다”며 IS를 한껏 자극했다. 

필리핀 당국은 마약상의 소행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필리핀 일간 인콰이어러에 따르면 두테르테 집권 후 사형된 마약사범은 832명에 이른다.

두테르테 대통령의 ‘공포 정치’는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 인권단체 국제사면위원회(앰네스티 인터내셔널)는 “마약 용의자 사살은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비판했다. 미국 국무부도 “법치와 인권이 존중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은 유엔의 인권침해 지적에 “유엔을 탈퇴할 수도 있다”며 물러서지 않았으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면담 요청에도 일정이 맞지 않는다며 피하고 있다. 일각에선 두테르테 대통령의 무지막지한 개혁이 필리핀의 불안한 치안 상황을 감안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얘기도 나온다. 

조은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