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확보를 위해 조치를 취하는중... 이하 기사... 이달말 글로벌공급망에 참여 의향서 제출 글로벌 제약회사를 통해서도 확보 국내 백신·치료제 개발도 적극 지원 방역당국이 해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시 우리 인구 70%에 접종 가능한 물량부터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당장 전 국민에 접종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인구 70%가 백신을 접종하면 집단 면역이 형성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21일 '코로나19 치료제ㆍ백신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백신 도입 및 예방 접종전략' 등을 논의했다. 우선 글로벌 백신 공급 메커니즘인 '코백스 퍼실리티(COVEX Facility)'를 통한 국제 배분 논의에 적극 참여, 이달 말까지 참여의향 확인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자력 구매 능력을 갖춘 국가를 통해 재정 확보 후 백신을 공동 구매하고 배분하는 체제로, 전 세계 인구의 20%까지 백신 균등 공급을 목표로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감염병혁신엽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백신 개발 선두에 있는 글로벌 기업과 개별 협상을 통한 백신 확보도 적극 추진한다. 이미 보건복지부는 아스트라제네카-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SK바이오사이언스와 백신 국내 공급 협력 등을 내용으로 한 협력의향서를 체결한 바 있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전 국민이 접종 가능한 물량의 백신 확보를 목표로 하되, 어려울 경우 최소한 집단면역 형성 등이 가능한 수준의 물량 확보를 추진하기로 했다.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서는 전 인구의 55~82%가 백신을 접종해야 하며, 정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70% 정도가 백신을 접종하면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백신은 예방접종 우선권장대상자 등을 고려해 1,600만~2,000만명분을 우선 확보하고, 위탁생산이나 직접 수입 등으로 백신을 추가 도입하는 2단계로 방식으로 확보하기로 했다. 또한 위험 최소화를 위해 백신은 플랫폼별로 1개 이상 확보를 원칙으로 한다. 도입된 백신이 적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국내 허가 및 국가출하승인 기간도 통상 115일에서 30일로 단축하기로 했다. 백신 접종 시기는 △신종 코로나 국내 상황 △타 접종 사례 및 부작용 여부 △국민 수요 등을 고려해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결정할 방침이다. 접종은 보건의료인과 사회필수시설 종사자, 군인, 노인 및 기저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이뤄진 뒤 일반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백신ㆍ치료제 개발도 추진, 현재 치료제 5개와 백신 3개에 대해 임상시험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치료제ㆍ백신의 신속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인 ‘국가 감염병 임상시험센터’를 운영, 아주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3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https://news.v.daum.net/v/20200821133937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