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중국이 ‘일대일로’ 사업을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에서 펼치는 과정에서 인근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9일(현지시간) 필리핀 경제매체 비즈니스월드에 따르면 필리핀중국연구협회(PACS)와 아시아부채개발운동단체(APMDD) 등은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을 통하는 일대일로’라는 제목의 책을 펴내며 필리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마을 100곳의 사례를 조사해 일대일로 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토착 주민들이 어떤 피해를 받고 있는지를 소개했다. 조사 결과, 공통적으로 주민들과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사업이 강행됐고, 일하는 노동자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았으며, 사회 및 환경적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대표적으로 필리핀 북부 루손섬의 케손주에서 진행될 예정인 ‘칼리와 댐’ 사업의 경우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의 일환으로 중국이 공적개발원조(ODA) 명목으로 필리핀에 자금을 지원하며, 오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메트로 마닐라를 비롯한 인근 지역에 원활하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 추진됐다. 하지만 PACS와 APMDD는 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약 300명의 토착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으며, 댐이 완공될 경우 필리핀 수도 마닐라 리살주 바랑가이 다라이탄 등 인근 지역의 상당 부분이 침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스리랑카에서는 항구가 개발되면서 어업에 종사하던 주민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방글라데시에서는 석탄발전소 개발로 인한 대기오염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언급됐다. 이에 더해 PACS와 APMDD는 인도네시아의 고속철도 사업, 파키스탄의 태양광과 석탄발전소 사업을 중국이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사례로 다뤘다. 리디 나크필 APMDD 코디네이터는 “일대일로를 다루는 다량의 책과 논문, 연구 보고서들이 존재하지만 정작 이들은 토착 주민들의 목소리는 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출처/https://www.asiatim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8009040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