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한 정부의 제한 조치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모여 시위하고 있다. 2020.10.27./사진제공=AP/뉴시스 유럽 각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다시 급증하면서 정부가 재확산을 막기 위한 2차 봉쇄조치를 강화하자 이에 반발하는 시위가 각지에서 벌어졌다. 2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유럽 시민들 사이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2차 봉쇄에 따른 공포감이 커져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경제가 악화돼 정부의 재정 지원이 절실한데도 제도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으며 감염자 폭증에 대응하는 추적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며 이에 대한 시민의 분노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현재 유럽은 코로나19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2차 대유행을 맞았다. 영국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 1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정부는 오는 5일부터 4주간 잉글랜드 전역을 봉쇄하기로 했다. 프랑스도 지난달 30일부터 한 달간 전국 이동제한조치에 들어갔다. 독일, 벨기에, 오스트리아도 부분 봉쇄를 시행했고 이탈리아는 음식점 등의 영업시간을 오후 6시로 제한하는 등 '준봉쇄' 수준의 조치를 취했다. 초기 시위는 코로나19가 날조된 것이라 믿던 음모론자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말라는 자유주의자에서 시작됐지만 이제는 상점 주인이나 예술계 종사자로 확대됐다. 이에 가디언은 봉쇄 조치로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하더라도 경제적으로 살아남지 못한다면 어차피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졌다고 설명했다. 이탈리아 피렌체에서는 지난달 30일 밤 정부의 제한 조치에 반발한 시위대가 경찰에 화염병과 돌을 던졌다. 스페인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등에서도 시위대는 길거리에 불을 지르고 상점 유리창을 깨는 등 폭력적인 행태를 보였다. 독일 베를린에서는 예술 분야 종사자 수천 명이 재정지원을 요구하는 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시위대는 "유럽 국가들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2차 봉쇄를 제대로 준비하지 않았다"며 "기업이 문을 닫으려면 재정지원이 필요하고 직원들은 실업 급여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최근 조사에 따르면 심각한 경제난과 심리적 피로 탓에 정부의 코로나19 보건 지침을 따르려는 시민들의 동기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지A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