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사기 총책 A씨(가운데)를 8일 오전 국내로 송환한 모습 /사진제공=경찰청 3년 4개월 간 국내에서 134억원의 규모의 물품판매 사기 행각을 벌인 일당의 총책이 필리핀에서 잡혔다. 피해자만 285명에 이른다. 총책인 50대 남성 A씨는 필리핀에 거점을 두고 활동했으나 경찰의 끈질긴 추적 끝에 붙잡혀 국내로 송환됐다. ‘코로나19’로 호송관 파견이 어려워 현지에서 근무 중인 한국경찰(코리안데스크)가 직접 A씨를 데려왔다. 감염 예방을 위해 송환 과정은 모두 방역복을 입은 채 진행됐다. ━ 車부품부터 콜라까지, 모두 사기 판매글...'마스크 사기'로 15억 뜯어내 ━ 경찰청은 8일 오전 물품판매업자를 사칭해 134억원을 편취한 사기조직의 총책 A씨를 국내로 송환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9월 필리핀에서 검거됐다. A씨가 총책으로 활동한 사기단의 조직원은 총 33명으로 2016년 12월부터 올 3월까지 온라인 카페 등에 허위 판매 글을 올려 피해자를 속였다. 판매 물품은 자동차부품부터, 게임기, 콜라까지 가리지 않았다. 피해금액만 134억원에 이른다. 특히 이들은 코로나19로 마스크 수요가 크게 늘었던 올 1~3월 ‘KF94 마스크’를 판매할 것처럼 속여 약 15억5000만원의 돈을 가로챘다. 마스크 사기에만 32명이 당했다. 이들은 환치기·자금세탁, 통장모집·관리, 범죄계좌 제공 등을 직책을 나눠 사기행각을 벌였다. 인천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3월부터 20명을 검거하고, 4명을 구속했다. 하지만 필리핀에도 거점을 두고 있어 총책 검거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 필리핀서 3개월간 A씨 동선 추적...코로나로 호송관 못 보내 현지서 직접 송환 ━ 필리핀으로 도피한 총책을 추적하기 위해 인천경찰청 인터폴국제공조팀은 확보한 A씨의 소재지를 경찰청을 통해 필리핀에 파견된 코리안데스크에 전달했다. 하지만 추적은 쉽지 않았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필리핀 지역사회가 격리된 경우가 많았고, 소재지로 파악된 콘도의 규모도 워낙 커 정확한 거주지를 특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코리안데스크는 필리핀 사법당국과 함께 콘도 주변 탐문 등 3개월간 A씨의 동선을 추적했고, 주거지를 특정했다. 이후 주거지 주변 잠복근무를 통해 지난 9월 1일 A씨를 검거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검거 이후에도 ‘코로나19’로 인해 호송관 파견이 쉽지 않아 현지 코리안데스크가 직접 8일 피의자를 국내로 송환했다"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필리핀 사법당국의 협조 등으로 검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20810444569162&outlink=1&ref=http%3A%2F%2Fsearch.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