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Advertisement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미국이 버린아이들 (과거 미군이 필리핀에 주둔 할 때 만들고 간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 (1)


미군이 필리핀에서 철수한 지 20년. 하지만 그들이 버리고 떠난 아이들은 아직도 차별을 받으며 살고 있다. 셰인 잭슨의 어머니와 미군 아버지는 디스코장에서 만나 연인이 됐다. 그러나 1991년에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하고 (근처에 있던 기지에 주둔하던) 미군이 철수한 뒤, 셰인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서로 연락이 끊겼다. 셰인은 지금 20살로, IT관련 대학원을 졸업했다. 아버지는 본 적이 없지만 최근에 그를 페이스북에서 찾았다. 주민운동 지도자인 마크 길보어는 아직 아버지가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겨우 걸음마를 배울 때 세부로 떠났는데 그 뒤로 보지 못하다가 이미 죽었다. 양모가 키웠는데, 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생모가 죽기 직전에야 생모와 연락이 닿았다. 이 두 사람 다 자신들이 “외부인”으로 보는 이웃과 직장동료, 급우들에게 차별받거나 따돌림 받았던 얘기를 털어놓았다. 여성의 권리를 위해 일하는 비영리단체인 위디프로(WeDpro)의 산토스 회장은 사람들이 이들 혼혈 “아메라시안(Amerasian)이 당하는 문제들을 알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녀는 “미국은 자기들이 버리고 떠난 아이들을 이미 잊어버린 것 같다”면서, 가장 작은이들을 보살펴야 한다고 하는 교회조차도 이들의 존재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지난 11월 27일, 미군철수 20주년을 맞아 한 필리핀인 아메라시안 단체가 “갈색 심장의 외침: 제1회 필리핀인-아메라시안 패션 대회”를 개최했다. 아메라시안들이 스스로 모델이 되어 나선 이 행사는 산 페르난도에 있는 클라크 공군기지 정문 밖에서 진행됐는데, 많은 아메라시안들이 겪었던 이야기와 이들의 꿈과 소망을 바탕으로 하는 여러 가지 패션을 보여줬다. 패션쇼 코디네이터를 맡은 이반카 쿠스토디오는 “필리핀인이 된다는 것은 피부색이나 부모의 인종에 달린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심장이 느끼는 것에 달린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 quot;아메라시안이든 아니든, 모든 필리핀인은 같은 감정을 느끼고 같은 문제로 고민한다. 바로 삶에서 최선의 기회를 찾는 것, 그리고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펄벅 국제재단에 따르면 미군이 1992년에 철수할 때 필리핀에는 적어도 5만 3000명의 미군 자녀가 남겨졌다. 이들 상당수는 가난하고 배우지 못했으며, 많은 학대를 당한다. 특히 흑인 혼혈은 더 큰 차별을 당한다. 1990년대에 필리핀대학이 수행한 한 연구에 따르면 백인계 아메라시안은 성적 학대를 많이 당한다. 아메라시안의 90퍼센트는 부모가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태어났고, 대부분 홀어머니가 키웠다. 기사 원문: Children left behind after US forces quit the country are struggling with the stigma of being & #39;different& #39; By 가톨릭뉴스

Comment List

바탕까스

아하.................

정보기타

Page1of1, total posts: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