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환자들 그리고 자주 통풍이 재발하는 사람들에게 맥주는 그림의 떡 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보리차는 어떤가요? 맥주도 보리로 만든술인데 통풍 환자들에게 절대 마시지 말라고 하는 맥주.
보리차의 경우도 보리 성분이 많은데요. 통풍 관련 정보를 찾아봤는데 보리차가 해롭다. 또는 괜찮다. 라고 하는 정보를
찾지 못했습니다. 통풍환자들 그리고 이따금씩 재발하는 통풍에 보리차는 해로운것일까요? 아니면 마셔도 괜찮을까요?
DavidPark
너무 어려운 질문이라 답변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헷갈리면 안드시면 되지 않나요?
찰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위의 진지한 질문에 진지한 답변에 웃으면 안되는데..
정말 너무 웃겨서..ㅠㅜ@ DavidPark 님에게...
눈티코티
@ 찰뤼 님에게...근래에 올라오는 질문들의 난이도가 상당합니다..
찰뤼
왠간해선 답글쓸 엄두가 안납니다.
아래 답글 ㅎㄷㄷ 합니다 ㅋㅋㅋ@ 눈티코티 님에게...
슬로우쿠커
대 한 류 마 티 스 학 회 지
Vol. 18, No. 1, March, 2011
DOI:10.4078/jrd.2011.18.1.1
□ 논 평 □
1
<접수일:2011년 2월 10일, 심사통과일:2011년 3월 11일>
통신저자:이 영 호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5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류마티스내과
E-mail:lyhcgh@korea.ac.kr
한국에서 흔한 주류의 퓨린 농도
이 영 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류마티스내과학교실
Measurement of Purine Contents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Young Ho Lee
Division of Rheum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통풍은 관절과 조직에 요산이 침착하여 생기는 관절염이
다. 요산은 퓨린의 마지막 대사산물로 대부분 동물에서는
uricase에 의해 요산보다 5∼10배 수용성이 강한 allantoin
으로 분해되어 신장을 통해 쉽게 배출된다. 그러나 사람은
uricase 효소가 없어서 요산이 높게 검출되는 경우가 많다.
총 요산의 약 2/3가 세포의 전환(turnover)으로부터 생기고
1/3은 음식 섭취를 통해서 생기게 되며, 생성된 요산의
70%는 신장을 통해서 배출되고 나머지는 장을 통해서 배
설된다. 요산수치가 높을 수록 통풍발생 빈도가 증가하며,
고요산음식은 혈중 요산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급성 통풍
환자에서는 피해야 하며 평소에도 음식관리가 필요하다
(1). 고퓨린 음식으로는 고기, 해산물, 콩, 버섯, 알코올 등
이 있고 저퓨린 음식은 우유, 치즈, 요구르트, 빵, 시리얼,
과일, 채소 등이 있다. 고퓨린 음식은 요산 수치를 1∼2
mg/dL 증가시키고, 퓨린이 없는 음식을 7∼10일간 섭취 시
같은 정도의 요산 감소를 야기한다 (2).
알코올은 고요산혈증 및 통풍 발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
으며, 통풍환자의 50%가 과도한 알코올섭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12년간 음주와 통풍과의 관계를 연구
한 코호트연구 결과에 의하면 알코올은 통풍발생을 증가
시켰으며 알코올 섭취량과 통풍위험도는 비례하였고, 주
류의 종류에 따라 통풍발생의 위험도가 달랐다 (4).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10∼14.9 g인 경우 상대위험도가 1.32였
고, 50 g 이상인 경우는 2.53으로 증가하였다. 주류 중에서
맥주가 가장 강한 연관을 보였으며, 하루 맥주 12-oz (355
mL) 섭취 시 상대위험도는 1.49였고, 진·럼·위스키·보드카
등 알코올 성분이 강한 증류주(44 mL)는 상대위험도가
1.15이었다. 그러나 와인은 하루 4-oz (118 mL, 하루 두 잔
정도) 섭취 시 상대위험도는 1.04로 통풍의 위험이 증가하
지 않았다. 하루 두 잔의 와인을 마시는 것은 통풍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다른 연구에서는 알코올의 종류와
상관없이 와인을 포함하여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 할수록
통풍 발작 빈도를 증가 시겼다 (5). 와인이 통풍 위험을 증
가시키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하지 않아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알코올은 요산생성증가와 요산배설감소를 통해 고요산
혈증을 일으킨다 (6,7). 급격한 알코올 섭취 시 알코올이
젖산으로 변환되고 젖산은 신장의 근세뇨관에서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요산의 배설을 억제한다. 만성 알코올 섭취는 퓨
린 생성을 증가시키고 알코올대사에서 acetate을 acetylCoA
로 변환을 통하여 adenosine triphosphate을 요산의 전구체
인 adenosine monophosphate으로 변환을 촉진하여 요산 합
성을 증가시킨다. 만성 알코올 섭취는 allopurinol의 활성대
사체인 oxipurinol로의 전환을 억제하기도 한다. 맥주는 주류
중에서 가장 많은 퓨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guanine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guanine은 쉽게 흡수되어 요산 합성
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8). 맥주는 hypoxanine, xantine
과 뇨산의 혈중 농도와 요산 배설을 증가시킨다.
지난 12월호에서 전 등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알코올 음료
2 이영호
에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방법을
이용하여 퓨린, 즉 adenine, guanine, hypoxanine과 xantine의
양을 측정하였다 (9). 이미 알려진 대로 맥주에서 다른 알
코올 음료에 비해 퓨린 양이 가장 많았고(42.26∼146.39,
μmol/L) 국내와 외국 맥주 브랜드간에 차이는 없었으며(국
내 vs. 외국 맥주, 77.6 vs. 78.3 μmol/L) 알코올 도수와도
연관성은 없었다. 약주(8.2 and 40.41 μmol/L), 막걸리
(11.71 and 24.72 μmol/L), 3종류의 레드 와인과 한 종류의
화이트 와인 중에서는 두 종류의 레드 와인에서만 퓨린이
검출되었다(6.03 and 17.9 μmol/L). 그러나 증류주인 소주
에서는 퓨린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위스키와 고량주에서
도 퓨린이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알코올 음료의 퓨린 함량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
았으나 전 등의 국내에서 유통되는 알코올 음료의 퓨린 함
량 측정은 통풍 환자의 식이요법 조절에 중요한 연구 결과
로 평가 될 수 있다 (9). 전 등의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종류의 알코올 음료의 퓨린 함량을 연구하였으나,
이전 일본에서의 주류 퓨린 함량 연구 (10)와 전 등의 연구
를 비교해 보면 몇 가지 차이가 있어서 이에 대한 추가적
인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맥주의
퓨린성분 중 guanine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aneko 등의 일본에서 유통되는 알코올 음료
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guanine이 가장 많은 퓨린 성분이었
으나, 전 등의 연구에서는 guanine 뿐만 아니라 xanthine도
많이 포함된 걸로 나왔다. 둘째, Kaneko 등의 연구 결과는
퓨린 함량이 맥주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와인 그리고
증류주에서 가장 낮았다. 전 등의 연구에서도 퓨린 함량의
순서가 같은 양상을 보였으나, 증류주인 소주에서는 퓨린
이 검출되지 않았고, 고량주, 위스키에서도 퓨린은 검출되
지 않았다. 셋째,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울 수 있지만 전 등
의 연구에서 퓨린 함량 수치는 Kaneko 등의 연구와 같은
HPLC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Kaneko 등의 퓨린 수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Kaneko 등의 연구에서 알코올 음료
중 퓨린이 검출이 안된 경우는 없었는데, 전 등의 결과에
서는 소주 뿐만 아니라 위스키, 고량주와 일부 와인에서는
퓨린이 검출이 되지 않았다. 퓨린이 검출되지 않은 알코올
음료에 퓨린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라는 결론을 내리기에
는 불충분한 소견이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맥주에서 퓨린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다른 음식과
의 상대적인 퓨린 함량 비교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된다.
맥주는 퓨린 함량이 알코올 음료 중 가장 많아서 통풍 환
자에서 맥주를 마시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그러나, 저자의
주장대로 맥주보다 퓨린 함량이 적은 다른 알코올 음료는
통풍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거나 적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은 옳지 않다 (9). 맥주 이외의 다른 알
코올도 고요산혈증과 통풍 발생을 증가시킨다. 알코올 음
료에 포함된 퓨린이 요산 합성을 증가시키지만 퓨린이외
에 다른 알코올 성분이 요산 배설 억제와 요산 합성을 증
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맥주에서 퓨린 함량이 가장 높고 와인, 막걸
리 등에서 퓨린 함량을 보인 전 등의 국내에서 유통되는
알코올 음료의 퓨린 함량 측정 연구는 고퓨린 음식을 피해
야 하는 통풍 환자 식이요법 조절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Richette P, Bardin T. Gout. Lancet 2010;375:318-28.
2. Emmerson BT. The management of gout. N Engl J Med
1996;334:445-51.
3. Sharpe CR. A case-control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behaviour in patients with acute gout. Can
Med Assoc J 1984;131:563-7.
4. Choi HK, Atkinson K, Karlson EW, Willett W, Curhan
G. Alcohol intake and risk of incident gout in men: a prospective
study. Lancet 2004;363:1277-81.
5. Zhang Y, Woods R, Chaisson CE, Neogi T, Niu J, McAlindon
TE, et al. Alcohol consumption as a trigger of
recurrent gout attacks. Am J Med 2006;119:e13-8.
6. Faller J, Fox IH. Ethanol-induced hyperuricemia: evidence
for increased urate production by activation of adenine
nucleotide turnover. N Engl J Med 1982;307:
1598-602.
7. Drum DE, Goldman PA, Jankowski CB. Elevation of serum
uric acid as a clue to alcohol abuse. Arch Intern Med
1981;141:477-9.
8. Gibson T, Rodgers AV, Simmonds HA, Toseland P. Beer
drinking and its effect on uric acid. Br J Rheumatol
1984;23:203-9.
9. Jun JB, Na YI, Kim HJ, Kim SH, Park YS, Kang J.
Measurement of purine contents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J Korean Rheum Assoc 2010;17:368-75.
10. Kaneko K, Yamanobe T, Fujimori S. Determination of
purine contents of alcoholic beverag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iomed Chromatogr
2009;23:858-64
vlfflvls2
@ 슬로우쿠커 님에게...
대박. . .
근데 저는 통풍이없긴한데 맥주꾸준히 하루 7병정도 먹는데 많이먹을땐 스므병정도. .
통풍보다 다른 이상이 생길까 생각드네용
대한금융
@ 슬로우쿠커 님에게...
ㄷㄷㄷㄷ
슬로우쿠커
@ 슬로우쿠커 님에게...
결론은 통풍의 원인은 맥주의 원료 호프가 아닌 맥주가 지닌 알코올 성분이 문제이기때문에 보리차는 당연히 통풍의 원인으로 지목을 받지 않는겁니다
까르페디엠
@ 슬로우쿠커 님에게...그렇군요. 술이 통풍에 안 좋은거였군요. 전 맥주좋아하는데 요새 배도 많이 나오고... 자제해야겠습니다.
빤데마닐라
@ 슬로우쿠커 님에게...자상하고도 정성스런 답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평소 보리차를 즐겨먹는 저희가족 이기에 가끔씩 발병하는 통풍때문에 보리차에 대한 의문이 생겨서 질문을 올렸던 것인데 감사드립니다.
슬로우쿠커
@ 빤데마닐라 님에게...
하하.. 그러셨군요..
저도 보리차를 좋아하고 옥수수차도 좋아해서 질문에 답변이 궁금해서 찾아 봤습니다.
보리차 계속 마실겁니다 (^-^)
까르페디엠
전 맥주가 통풍에 안좋다는 사실도 님 덕분에 첨 알았네요.
처리남
보리차는 무알콜이라서
괜찮지 않을까요
잘은 모르겠지만.....
parmirs
중국에 칭다오 맥주가 유명하지요.
칭다오지역 공장 주변에 사는 사람들이 그렇게 통풍환자가 많다고 합니다.
공장에서 싸게 맥주 나온것들 많이 마시다보니 그렇다고 합니다.
락웰
.
hyung23joon
건강이 최고..
앙헬주민
질문이 참 어렵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혹 보리의 성분과 알코올이 결합하여 통풍에 해로운 성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보리차가 안좋다는 얘기는 한번도 못들어봤고 술이 안 좋다는 얘기가 아니라
맥주가 안 좋다는 얘기를 들으셨으니
왠지 보리+알코올 조합에서 나오는 성분이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