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ne Number Sign In

Left Sidebar

This is the left sidebar content.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left sidebar ..

세탁기 부품 교환시 세입자가 비용을 내는게 맞나요? (87)


후후후후후

2년째 살고 있는 콘도인데요 어느날 세탁기가 안돼서 집주인에게 문의하니

수리공을 불러주겠다 하대요. 그러곤 왔는데 메인보드가 고장이라며 견적을 보내주겠다 합니다.

5~6천페소 나왔나.. 별건 아닌데 그래도 나중에 더 큰 일 있을때 어쩔까 싶어 집주인에게 

물었더니 아무 대꾸가 없습니다. 새 제품도 아니고 쓰던건데..

 

그래서 그냥 귀찮아서 이번엔 저희가 내고 말았는데 원래 이런건가요?

계약서 들춰봐야겠지만 보통 이런 경우 어떻게 해요?

참 애매하네요..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거리~ 2년간 살고 있는 콘도의 세탁기 수리비 책임소재 부분.. 뭐라 답하기 어렵습니다

@ 데이지5 님에게... 애매하면 반반하면 좋다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저도 애매하다고 생각해서 잠깐 생각해봤습니다

@ 그래도 님에게... 글쎄요.. 필리핀에서 살아보니 애매하거나 곤란한건 을(세입자)의 몫일것 같다란 생각이네요

@ 데이지5 님에게... 2년 살았는데 애매는 한데 주인이 모르척 하긴엔 과도한거 같아요

@ 태양의신 님에게... 그러게 말입니다 여기선 주인을 잘 만나고 봐야합니다 한국도 그렇지만요

R

@ 모아모아 님에게... 정답입니다 일단은 주인은 잘만난고 봐야한다

사용하면서 고장난 부분의 부품은 세입자가 부담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과는 약간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건 참 난감하네요 우리집 주인은 자기돈으로 고쳐주는데 그래서 다른곳으로 이사 가기가 겁나요

R

@ 모아모아 님에게... 그것도 복이니깐 잘 사세요 필주인 좋은사람 만나기 어려워요

@ 모아모아 님에게...정말 착한 집주인이네요 필리핀 주인들이 배웠으면 하네요

@ 다다음 님에게... 저희 집주인은 아주좋아요 망치질은 자유이구요 에어켠 고장나도 모두 고쳐줘요

@ 모아모아 님에게...집주인이 좋아 보여도 너걸땐 180도 확 달라질수있습니다. 못자국 부분까지 다 걸구 넘어질수도 있어요

@ 다다음 님에게... 착한집주인이면 마음도 편하죠 일찍 나오셨어요

@ 태양의신 님에게...네 일찍 나와서 한건 했습니다 굿모닝 입니다

@ 모아모아 님에게... 잡주인 좋으신분이면 그냥 사세요.ㅎㅎ

@ 위트니 님에게...그러네요 정말 좋은 집주인을 만나셨군요 ...

@ 다다음 님에게... 오늘도 즐거운 이벤트시간 되세요^^

@ 태양의신 님에게...네 태양님도 오늘 대박 포인트 맞으세요 ...

소비재니깐 거주자가 부담도 맞지만 저런건 쓰면 쓸수록 문제인거라 사실 주인이 해줘야 하지않을까요 값도 비산데 새걸 사는게 낫겠네요

@ 위트니 님에게... 세탁기는 사용 할수록 내부부속이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데요 암튼 그래요

@ 위트니 님에게... 세탁기가 적은 가격도 아니고 주인장이 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위트니 님에게...세탁기의 메인보드가 어떻게 소비재일까요? 제 의견은 주인이 부담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위트니 님에게... 중고 세탁기도 그정도 갈텐데 그렇게나 비싼가요

@ 위트니 님에게... 그러니 차라리 세탁기를 사서 사용하는편이 나을듯싶네요

@ 위트니 님에게...메인보드라서 그정도 갈꺼 같습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 다다음 님에게... 가격도 많이 비싸군요 오늘도 포인트 많이 받으세요

주인이 고쳐 줘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가구 포함의 렌트 하우스라면...

@ 집에가자 님에게...풀퍼니쳐의 경우 책임소재 나누기가 무척 어려우며 계약기간이 끝날시 더 까다로와 집니다 웬만해선 풀퍼니쳐 임대를 별로 안좋아하는 이유죠..어떤 주인은 니네가 살면서 변질된것이니 페인트 다시 칠하는것도 부담하라 합니다

@ 집에가자 님에게... 그렇게해야 마땅한줄로 압니다 그런데 주인이 모르척한다면 싸울수도 없고 그러네요

R

@ 집에가자 님에게... 가구포함 렌트하우스면 당연하게 고쳐줘야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H

제가 사는 콘도는 뭐좀 망가지면 수리안해줘여 수리히는 사람 불러는 주는데 비용청구하더라구요 ..

W

@ hun1099 님에게... 주인이 불량주인이네요 참 거시기하군요

@ working 님에게...네 참 머시기 하네요 ㅎㅎ 좋은 아침입니다 ..

W

비용이 장난 아니네요 주인이 물어야하는거 아닌가요 너무 나왓네

@ working 님에게...비용이 많이 나오긴 했죠 오늘도 대박 포인트 맞으세요..

<p>.</p>

<p>.</p>

좋은 아침 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좋은 아침 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G

이게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주인 입장에서는 세입자가 세입자 입장에서는 주인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잘 해결 하시길 바랍니다

풀 퍼니쳐 세입자는 고장및 파손시 세입자가 부담하는게 맞습니다.

풀 퍼니쳐 세입자는 고장및 파손시 세입자가 부담하는게 맞습니다.

사용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세입자는 원상회복 의무가 있습니다

풀 퍼니쳐 세입자는 고장및 파손시 세입자가 부담하는게 맞습니다.

그러게요 소모품이니 고장이 나죠 어떻게 할지는모르겠네요~~ 좋은하루되세요~~

그래도 자주열락해보세요 달라하면서 영수증 주면서 필은 자주말해야 하더라구요

좋은정보 잘얻어갑니다. 포인트만 얻어갈게요. 좋은하루되세요.

일단 한국같으면 집주인이 해주는게 당연한건대 여긴 필핀이나 반반씩하시는게 ,,, 잘협의해서 하시면 될듯합니다

D

애매모호한 부분이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보통 세입자가 해야되지 않나요? 임대차 계약서에 조항이 나와있을텐데요. 예전에 살던 집에서 집주인은 전구 하나까지 자기들이 갈아줘서 좋았는데..

@ 리썅 님에게... 맞아요..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R

좋은 주인 만나는 것도 큰복이겠네요.. 내가 주인이었다면??

K

원칙상 전자제품의 경우 사용 중 고장이 나게되면 사용자 잘못으로 세입자가 부담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만 고장 원인을 살펴봐야 알 수 있겠지요? 좋은 주인 만나면 주인이 고쳐 주겠지요?

계약서를 잘 살펴보세요. 보통 세입자가 살면서 발생하는 수리비 부분에 대해선 0000페소(또는 이하 이상의 금액일수도,집집 마다 다르니까요) 이하는 세입자가 알아서 고쳐 사용한다..라는 항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희집 같은 경우는 5000페소 이하입니다. 그래서 자잘한건 저희가 알아서 고쳐쓰고 금액이 큰건 집주인에게 수리 요구합니다.

좋은정보 잘얻어갑니다. 포인트만 얻어갈게요. 좋은하루되세요.

좋은정보 잘얻어갑니다. 포인트만 얻어갈게요. 좋은하루되세요.

이거 상당히 애매한데요 저는 제가 고처서 사용했습니다. 집주인 좋은사람을 만나본적이 없기에...

그럴것 같네요 사용중이니 본인부담이 맞는것 같습니다 좋은날 되시고요~~

주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세입자가 부담하지 않나요? 자꾸 주인 귀찮게하면(?) 나중에 디포짓 받을때 문제 발생 하는 경우 많더라고요. 주인 입장에서도, 자기가 쓰지도 않고 누가 어찌 썼는지도 모르는데 돈 내라고 하면 좀 억울할 수도 있을것 같아요.

@ 네버다이 님에게...저는 필리핀 살면서 디포짓 돌려받아본적이 한번도 없었습니다. C

@ 바쁘게사는사람 님에게...헉 저는 지금 사는 곳이 9년 중 8번째 콘도 인데요. 현재 콘도는 살고 있으니 제외하고 7번째 콘도까지 디포짓 다 돌려받았습니다(공과금 제외) 집을 말 그대로 자는 곳으로만 쓰니 뭐 수리할게 없었나 봐요 ㅎㅎ 주인에게도 귀찮게 뭐 요청안하고 제 돈으로 수리나 그 외 할거 다해서 예쁘게(?) 잘 봐줬나 봅니다.

R

2년 이상 사용하면서 고장이 난 것이라면 좋은 주인 만나면 해결 해 줄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세입자가 부담을 해야 하겠지요?

너무 애매한 경우는 맞아요. 그래도 제 생각에는 집주인과 반반 정도에서 합의하면 좋을 텐데. 집주인 입자에서는 소모품이라 사용하시는 분 부담으로 생각할 것 같기도 하고..

이벤트가 계속 되는가 보네요. 포인트나 줄때 많이 받아 갈랍니다.

2달을 살다 고장이 나도 세입자가 고치는게 맞습니다. 주인이 고치는 경우는 가구, 전자제품 제외한 집의 시설적인 문제에서, 문제발생시에만, 금액 기준을 두고 그 이상일때 주인이 고치는 겁니다. 자연적인 문제에만 해당되고 기계고장 퍼니처 망가짐 등은 100% 세입자가 파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P

제가 볼때 세탁기도 콘도에 부착물(재산)으로 보고 집주인이 고쳐야 한다고 생각됨. 한국에서도 전세집 보일러 교체 하면 집주인이 교체비용 부담함,

풀퍼니쳐면은 세입자가 부담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ㅠㅠ 새 제품 고장이면 AS 받으면 될텐데 안타까벤요.

저는 처음 계약 당시 비용에 대해서 오천페소 기준으로 하여 미만인 경우는 세입자인 내가 부담하고 그 이상인 경우는 집 주인이 부담하는 걸로 작성을 하였지요...

저는 처음 계약 당시 비용에 대해서 오천페소 기준으로 하여 미만인 경우는 세입자인 내가 부담하고 그 이상인 경우는 집 주인이 부담하는 걸로 작성을 하였지요...

T

포인트좀 얻어갈게요.즐거운 추석보내시길 기원합니다

<p>계약서에 보세요. 보통은 메이저 수리에 관해서는 집주인이 그리고 마이너한 것에 대하여는 세입자가<br /> <br /> 부담해서 수리, 교체한다고 되어 있어요. 금액으로 분류를 해 놓는 경우도 있고요.<br /> <br /> 저에 경우는 인터폰이 안되서 교체했는데 2500페소라고 월관리비에 청구한다고 하더군요.<br /> <br /><br /></p>

포인트용 댓글입니다 의미 없는 댓글이니 이해 해 주셔요 님께서도 4자리 대박 고래점수 받으시고 풍요롭고 즐거운 추석 맞으세요^^

O

2년을 사용하였으니 조금 애매한데요. 소모품이라.. 반반 하자고 말씀해 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건물에 하자가 생기는거는 집주인이 100% 겠지만 세탁기 같은 소모품은 정말 애매하네요.

참억울하시겠네요 아마 계약서 들여다 봐도 세입자 탓이라고할것 같네요

P

한국같은경우도 그런 문제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 보일러관련으로 종종 분쟁이 나는데요. 계약서상 그런문제가 명시되어있지 않다면 50:50으로 네고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나중에 집옮기실때 데포짓에서 수리비를 제하면 세입자 입장에서는 울며겨자먹기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럴꺼면 차라리 수리하고 나갈때까지 사용하는것이 더 좋을수도 있어요.

포인트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N

퍼니처에 세탁기등이 계약상돼있으면 당연 사용하는쪽에서 수리해야맞는거지여..

Y

거의 살고있는 세입자가 거의다 고쳐가면 사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주인이 절대 고쳐주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ㅠ

이런 경우는 참 애매하네요...

x부라아알 것!!!나중에는 보증금도 못 받겠네.. 차라리 세탁기를 고치지말고 하나를 사시고 쓰시다가 가져가시던지 팔던지 하시는게요... 나중에 이사가시기 전부터 월세를 약간씩 늦게 주시다가 디포짓 2달정도 되니 마지막 2달치는 주지말고 돈이 없어서 조금한 집으로 이사간다고 하세요 저도 이전에 보증금 못 받아서 그 후에는 이렇게 합니다 이런식으로 2번 이사했었는데 손해본거 없었어요 무조건 계약은 1년 하지만 이번 집은 6개월로 했습니다 하도 집주인들이 양아치가 많아서요 참고만 하세요~^^

세입자가 내야 되는거 아닌가요 .. 주인 이랑 입주 계약 할당시에 모두 정상 작동 되는거 확인했다면 말이죠 2년을 사셨으니 당연히 정상 작동 확인 한거라 봅니다 다만 수리비가 중고가격보다 더나오면 집주인과 상의 해서 중고를 사는게 어떨까요

콘도에 있는 시설이면 사용자가 고치는게 맞습니다. 계약서에도 아마 그렇게 되어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포인트만 얻어 갈께요.. 좋은 하루 되세요~~

T

2년이나 살다가 고장난 부품은 세입자가 내는게 맞는거 아닐까요? 그래서 노퍼니처가 속편하다는

보통 계약서에 나와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세입자 부담이 맞죠